Quality Evaluation for Usabil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인터넷 쇼핑몰 사용성에 대한 품질평가

  • 이명숙 (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이금석 (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usability quality through investigating the factors of usability for internet shopping mall websites. For this study, previous studies were investigated and experts' discussions were held. In result, six characters of usability were chosen such as content satisfaction. customer attraction satisfaction, price information satisfaction, public security satisfaction, user interface satisfaction. and process of transaction satisfaction that affect usability of shopping mall websites and the evaluation models of 72 detailed measure factors were established. Since these 72 sub-factors inc)ode the key words of HTML, XML, JSP, and ASP from the target websites. 33 measurable sub-factors in the information were measur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experiment. In addition, a questionnaire about usability measure factors was executed after preferable websites and not preferable websites are selected. After that, we verified the reasonability of usability measure model factors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experiment with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time it takes to measure the usability of shopping mall websites can be reduced by using this measurement supporting tool. Also, this tool may be used to estimate the usability during the development of a shopping mall website.

본 논문은 국내 인터넷 쇼핑몰 웹사이트의 사용성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웹사이트의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조사 분석하고, 기존 연구 조사와 전문가 토론을 거쳤다. 그 결과 쇼핑몰 웹사이트의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섯 가지 사용성 특성, 즉 콘텐츠 만족도, 고객흡인 만족도, 가격정보 만족도, 보안 만족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만족도, 거래과정 만족도 등을 추출하였고, 각 특성들을 구성하는 72개의 세부 측정요소의 평가모델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72개 사용성 측정요소 중에서 웹사이트를 구현한 HTML, XML, JSP, ASP등의 정보를 대상으로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33개의 세부요소를 측정하는 사용성 평가실험을 하였다. 또한 현재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는 사이트와 그렇지 못한 사이트를 선정하여 동일한 사용성 측정요소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평가실험결과와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터넷 쇼핑몰의 사용성 측정 평가모델 요소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사용성 품질평가 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실제로 사용성 품질을 측정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쇼핑몰 웹사이트의 개발설계 시 사용성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