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ctu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Lower Part of the Han River

한강 하류에서 환경요인의 변동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동태

  • Suh, Mi-Ye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Kim, Baik-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Hanyang University) ;
  • Bae, Kyung-Seok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서미연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수환경생태팀) ;
  • 김백호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
  • 배경석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수환경생태팀)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Concentrative samplings of 35 times on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and physicochemical factors were conducted at five sites over Seongsu Bridge to Seongsan Bridge in lower parts of the Ban River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Over the study, all physicochemical factors showed no large differences among the sampling sites except station 2 having high concentrations of BOD, TN, and TP. Heavy rain also cause these concentrations to decrease. The phytoplankton species and abundance (88 taxa and $1{\sim}41$,104 cells $mL^{-1}$)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season, and sharply decreased during heavy rains. In particular, cyanobacteria dominate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during dry seasons, while green algae and diatom dominated during the rainy seasons. However, after the termination of rain, high water temperatures over $20^{\circ}C$ and low N/P ratios $(9.4{\sim}18.9)$ evoked the cyanobacterial bloo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the heavy rain (huge outflows of Paltang Dam) temporarily diluted the nutrient level and effected the cyanobacterial bloom in the lower parts of the Han River, cyanobacterial abundance was recovered by the high temperature and low N/P ratio as the rainfall discontinued.

한강하류에서 환경요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총 35회 채수하여, 분석하고 동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환경요인의 변화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지점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BOD와 TN, TP등에서 St. 2지점이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집중 강우가 있었던 시기에 비교적 낮은 농도 분포를 나타냈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88종이 출현하였으며, 현존량은 $1{\sim}41$,104 cells $mL^{-1}$ 범위로써 계절과 조류종에 따라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별로는 남조류, 규조류, 녹조류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냈는데, 남조류는 여름에서 가을로 접어드는 시기에(5월${\sim}$9월) 현존량이 낮은 반면,녹조류와 규조류의 출현이 우세하였고, 특히 규조류 중 Cyclotella sp.는 주로 봄철에, Aulacoseira granulata는 가을철에 주요 우점종으로 출현하면서 하절기인 6월을 기점으로 종 천이가 일어났다. 강우기에 현저하게 감소하였던 남조류는 강우가 끝난 후 수온이 $20^{\circ}C$ 이상 지속되면서 질소/인 비가 가장 낮아지는 시기인 10월$(9.4{\sim}18.9)$에 현존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대발생을 야기하였다. 주로 한강하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천이가 일어날 수 있는 환경요인은 집중강우로 인한 팔당댐의 방류량과, 수온, 질소/인 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 1997 상수원에서의 이취미 발생 원인 및 대책에 관한 연구(I). 106p
  2. 국립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2004. 팔당호의 식물플랑크톤 사진집
  3. 김동섭, 김범철. 1990. 팔당호의 일차생산, 육수지 23: 167-179
  4. 김범철, 김은경, 박호동, 전중균. 1999. 호수의 독성남조류. 동화기술. 32p
  5. 김숙찬, 김한순. 2004. 영천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환경요인의 동태, Algae 19: 227-234 https://doi.org/10.4490/ALGAE.2004.19.3.227
  6. 박성배, 이상균, 장광현, 정광석, 주기재. 2002. 장마기의 강우가 낙동강 하류(물금)수질에 미치는 영향, 육수지 35: 160-171
  7. 박혜경, 정원화, 권오상, 류재근. 2000. 팔당호에서 남조류 및 남조류 생산 독성물질의 계절변동, Algae 15: 29-35
  8. 서미연, 김백호, 배경석, 한명수. 2005. 한강하류의 남조류 및 환경요인의 연간(2000-2003)변화에 대하여, 육수지 38: 315-321
  9. 서울특별시. 1998.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10. 신재기. 1998. 낙동강 부영양화에 따른 담수조류의 생태학적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유광일, 임병진. 1990. 한강하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질 오염지표에 대하여, 육수지 23: 267-277
  12. 이 경. 1985. 팔당댐 침수수역 식물플랑크톤의 수직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9: 117-127
  13. 정승원, 이진환, 유종수. 2003.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 식물플랑크톤 군집 대발생의 특정, Algae 18: 255-262 https://doi.org/10.4490/ALGAE.2003.18.4.255
  14. 최재범. 1990. 한강종합개발과 관련한 한강의 수질개선효과(보고), 한국하수도학회지 1: 38-44
  15. 한명수, 어윤열, 유재근, 유광일, 최영길. 1995.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외 군집구조와 변화, 육수지 28: 335-344
  16. 한명수, 유재근, 유광일, 공동수. 1993.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수질의 연변화: 과거와 현재, 육수지 26: 141-149
  17. 환경부. 2004.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8. Carmack, E.C. 1979. Combined influence of inflow and lake temperature on spring circulation in a riveraine lake. J. Phy. Oceanogr. 9: 422-434 https://doi.org/10.1175/1520-0485(1979)009<0422:CIOIAL>2.0.CO;2
  19. Cho, K.S., B.C. Kim, W.M. Heo and S.J. Cho. 1989. The succession of phytoplankton in Lake Soyang. Kor. J. Limnol. 22: 179-189
  20. Codd, G.A. 1995. Cyanobacteria toxins: Occurrence, properties and biological significance. Water Sci. Tech. 32: 149-156
  21. Harper, D. 1992. Eutrophication of freshwaters: principles, problems and restoration. Chapman & Hall, London. 327p
  22. Hutchinson, G.E. 1967. A Treatise on Limnology. Vol. II. Introduction to lake biology and the limnoplankton.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115p
  23. Lee, K. and S.K. Yoon. 1996. A study on the phytoplankton in the Paldang Dam Reservoir III. The changes of diatom community structure. Algae 11: 277-283
  24. Moore, R. 1984. Public health and toxins from marine blue-green algae, 369-376. In: 'Seafood Toxins' E.P. Ragelis ed., Amer. Chem. Soc., 114: 7941-7942 https://doi.org/10.1021/ja00027a062
  25. Park, H.K., S.U. Cheon, S.I. Park, M.H. Lee and J.K. Ryu. 1992.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in some artificial lakes of Korea. J. KSWPRC 8: 150-158
  26. Poulickova, A. 1993. Ecological study of seasonal maxima of centric diatoms. Algol. Studies 68: 86-106
  27. Reynolds, C.S. 1984. Phytoplankton periodicity: the interactions of form, function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Freshwater Biol. 14: 111-114 https://doi.org/10.1111/j.1365-2427.1984.tb00027.x
  28. Shannon, 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onois Univ. Press, Urbana. 177p
  29.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1-688 https://doi.org/10.1038/163001a0
  30. Smith, W.H. 1986. Prediction the proportion of blue-green algae in lake phytoplanktion. Can. J. Fish. Aquatic Sci. 43: 148-153 https://doi.org/10.1139/f86-016
  31. Stockner, J.G. and K.S. Shortreed. 1988. Response of Ana-baena and Synechococcus to manipulation of nitrogen: phosphorus ratios in a lake fertilization experiment. Limnol. Oceanogr. 33: 1348-1361 https://doi.org/10.4319/lo.1988.33.6.1348
  32. Stoermer, E.F., J.A. Wolin, C.I. Schelske and D.J. Conley. 1985. An asseesment of ecological changes during the recent history of Lake Ontario based on siliceous algae microfossils preserved in the sediments. J. Phycol. 21: 257-276 https://doi.org/10.1111/j.0022-3646.1985.00257.x
  33. Wetzel, R.G. 1983. Limnology. 2nd ed. Saunders Coll. Publ., Philadelphia. 76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