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riental World of Thoughts found in Baeksu's Sijo Works

동양적 사유에서 본 백수 정완영 시조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The poetic world of Jeong Wan-yeong, Baeksu in pen name, is commonly said to be a mirror of the Oriental world of thoughts. However we haven't had any scientific article to support this point. My research is aimed to verify this point. The conclusions of my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each persona in his sijo work complies to nature, revealing himself in harmony with the principles of nature, and lost in nature. Second. Baeksu, in his sijo works, regards two conflicting ideas as complementary ones, which was called the theory of 'Bangsaeng(方生)' by Chung-tze(莊子), and was called the theory of Origin(緣起說) by Buddhist philosophers. Third, Baeksu located his home town in a space of the supernatural world. which is similar to that of 'Muhayujihyang(無何有之鄕)'called by Chung-tze. From these points, it can be said that the ideas of Chung-tze and Buddhist philosophers are deeply permeated in his sijo works.

흔히 백수 정완영 시인의 작품세계는 동양적 사유세계에 충실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바로 이 점에 대해 알아보려 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백수 시조에는 작중화자가 자연에 부합하는 존재이면서 자연의 원리 하에 자신을 세우고 자연 속에 동화되어 몰아(沒我)의 경지를 자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장자에서 말하는 좌망(坐忘), 불교에서의 지관(止觀) 혹은 정좌(靜坐)와 흡사한 경지라 할 수 있다. 둘째, 백수 시조에는 대립되고 모순되는 것 같은 개념을 서로 상관 개념으로 보려하고 있다. 이는 장자에서는 방생(方生)이라 하고 불교에서는 연기설(緣起說)이라고 한다. 셋째. 백수 시조에는 현실초월 공간에 고향을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장자가 말한 무하유지향(無何有之鄕)의 세계, 불교에서의 공파(空寂)의 세계와 비슷하다. 이렇게 볼 때 그의 시조 속에는 장자나 불교 철학이 깊이 배어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그의 작품들은 많은 독자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는데 그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이같은 동양적 사유세계를 잘 나타내고 있음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