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Spatial Distribution of Scrub Typhus and Its Environmental Ecology

쯔쯔가무시증의 시.공간적 분포와 환경생태요인

  • 공우석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 신이현 (국립보건원 질병매개곤충팀) ;
  • 이희일 (국립보건원 질병매개곤충팀) ;
  • 황태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 김현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 이난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 ;
  • 성지혜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 이슬기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 윤광희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time-spatial distribution of Scrub typhus and its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ecology, such as climate, and habitat change are analyzed in respect of the geography of disease. Scrub typhus was firstly reported in 1951, and reemerged in 1986 mainly in southwestern Korea. later it has sharply increased and spreaded out toward whole country in 1998 and 2004, except mid-eastern mountainous region. Hwasung City is the typical example of sudden upsurge of Scrub typhus. High incidence of Scrub typhus patients might due to elevated temperature and decreased precipitation during the summer, as well as milder autumn. Sharp increase of Scrub typhus patients at rural area since 1980's might also be the result of the rapid changes of land use pattern, which eventually have contributed for the active development of dense vegetation and propagation of chigger mites around cultivated land.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의 시 공간적 분포를 기후, 서식환경 변화 등 환경생태요인과 관련하여 질병지리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쯔쯔가무시증은 1951년에 보고된 뒤 1986년에 재발했고, 1998년과 2004년부터 급증하였다. 계절별로는 11월(58%)과 10월(33.2%)에 주로 노인층에서 발병한다. 남부평야지대에 발생하던 쯔쯔가무시증은 점차 동부산지지대를 제외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경기도 화성시는 발병자가 급증한 대표지역이다. 발병자가 급증한 것은 기후와 토지이용 변화 등 환경생태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본다. 전국적으로는 연평균기온이 상승하고 연평균강수량이 감소하면서 쯔쯔가무시증 환자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사례 조사지역인 화성시, 합천군 등에서는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고 강수량 많은 해에 환자가 증가했다. 여름에 기온이 높고 상대적으로 건조하면 식생이 무성해져 털진드기의 생장과 번식이 활발해진다. 이어서 가을이 온화해지면서 털진드기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본다. 농촌에서 환자가 많은 것은 1980년대 이후 토지이용 변화에 따라 마을과 경작지 주변에 늘어난 관목숲, 풀숲을 중심으로 쯔쯔가무시증의 매개체인 들쥐류와 털진드기가 번성하면서 질병을 확산시킨 결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찬.김명해, 1998, '예당지 주변의 진드기류 군집 조사,' 한국생태학회지, 21(1), 97-103
  2. 공우석.황태성.이난영.성지혜.윤광희.신이현.이희일, 2007, '쯔쯔가무시증 발생지 내 비오톱의 환경생태요인,' 대한지리학회 2007 연례학술대회 요약집, 279-280, 청주대학교, 2007. 6. 1-2
  3. 김경아.이세훈.오연목.오명돈.김익상.최강원, 1998, '1998년 봄철에 발생한 쯔쯔가무시병 2예,' 제50차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399
  4. 김관천.이진종.김종선.조영관, 2002, 위생해충학, 신광문화사
  5. 김명해.강병찬, 1996, '경작지 주변의 토양에서 털진드기류의 군집구조와 계절별 발생소장,' 한국생태학회지, 19(1), 31-37
  6. 김미영.박옥.김미경.유영옥.김선미.진정화.정은경, 2003, '우리나라 전염병 발생추이 및 유행예측을 위한 분석모형,' 국립보건월보, 40, 5-6
  7. 김영환, 1998, 위생곤충학, 대학서림
  8. 김윤원.조민기.김희숙.윤창순.유경숙.이종호.민창홍, 1991, '1986년부터 1990년 사이에 혈청학적으로 진단된 급열성질환의 발생 추이,' 대한미생물학회지, 26(5), 431-441
  9. 김준명.김영기.김웅.김영준.강신욱.홍천수, 1990, '늦봄에 발생한 쯔쯔가무시병 1예,' 대한내과학회잡지, 36(5), 701-704
  10. 김현숙.조관호.강상건.차만진.황혜언, 2002, '2000년 가을 정읍 및 인근지역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의 임상조사,' 가정의학회지, 23(1), 87-95
  11. 류성호.송양숙.정수용.문성실.송진원.송기준.박광숙.백락주, 2003, '한국 야생들쥐의 Orientia tsutusgamushi 감염에 대한 역학적 조사,'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33(2), 131-137
  12. 신이현.양양철.이주연.이원자.김정림.조양벽.윤영희.심재철, 1991, '들쥐의 밀도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 국립보건원보, 28(1), 141-144
  13. 유정식.이주영.고운영.양병국, 2002, '말라리아 모기 경보체제 기반조상, GIS와 공간분석을 이용한 말라리아 위험지역 선정과 모델링,' 국립보건원보, 39, 218-219
  14. 이인용.이한일.홍한기, 1993, '국내 털진드기(Acarina: Trombiculidae)의 계적적 소장 및 지리적 분포 조사,' 동물학회지, 36(3), 408-415
  15. 장우현.최명식.기선호 외 22인, 1989, '1986년 및 1989년에 한국에서 발생한 렙토스피라병의 혈청학적 조사,' 대한미생물학회지, 25, 341
  16. 장윤섭, 1989, '쯔쯔가무시병의 발생현황과 관리대책,'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제23회 춘계학술세미나 발표문, 155-159
  17. 정희영, 1986, '쯔쯔가무시병의 역학,' 감염, 18, 17-28
  18. 조민기, 1988,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렙토스피라균의 성상 및 렙토스피라증의 혈청학적 조사(1984-1987),' 대한의학협회지, 31, 612
  19. 질병관리본부, 2005, 질병관리본부백서
  20. 한국곤충학회.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21. Brownstein, J.S., Holford, T.R, and Fish, D., 2003, A climate-based model predict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yme disease vector Ixodes scapularis in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1(9), 1152-1157 https://doi.org/10.1289/ehp.6052
  22. Dirk Van Peenen, P.F., Lien, J.C., Santana, F.J., and See, R., 1976, Correlation of chigger abundance with temperature at a hyperendemic focus of scrub typhus, Journal of Parasitology, 62(4), 653-654 https://doi.org/10.2307/3279442
  23. Estrada-Pena, A, Venzal, J.M., and Acedo, C S. 2006, The tick Ixodes ricinus: distribution and climate preferences in the western Palaearctic, Medical and Veterinary Entomology, 20, 189-197 https://doi.org/10.1111/j.1365-2915.2006.00622.x
  24. Evans, G.O., 1992, Principles of Acarology, C . A . B International
  25. Lindgren, E. and Gustafson, R., 2001, Tick-borne encephalitis in Sweden and climate change, Lancet, 358, 16-18 https://doi.org/10.1016/S0140-6736(00)05250-8
  26. Munro-Faure, A.D., Candler, R., Andrew, G.A., Missen, K., and Mackay-Dick, J., 1951, Scrub typhus in Korea, J. Roy. Army Med. Corps., 97, 227-229(김명해.강병찬, 1996에서 재인용)
  27. Sumilo, D., Asokliene L, Bormane, A., Vasilenko, V., Golovljova, I., et al., 2007, Climate change cannot explain the upsurge of tick-borne encephalitis in the Baltics, PLoS ONE, 2(6), e50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00500
  28. WHO, 2004, Using Climate to Predict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A Revieu(매개체감염질환통제연구회(역), 2005, 기후를 활용한 전염병 집단발생예측, 질병관리본부)
  29. Woodruff, R.E., Guest, C, Garner, M.G., Becker, N., Lindesay, J., Carvan, T., and Ebi, K., 2002, Predicting Ross River virus epidemics from regional weather data, Epidemilogy, 13(4), 384-393 https://doi.org/10.1097/00001648-200207000-00005
  30. http://dis.cdc.go.kr
  31. http://edis.ifas.ufl.edu/IG085
  32. http://mdc.mo.gov/conmag/2000/06/50.htm
  33. http://ohioline.osu.edu/hyg-fact/2000/2100.html
  34. http://web.donga.ac.kr/yjlim/5.htm
  35. http://www.hc.go.kr
  36. http://www.hscity.net
  37. http://www.jeonj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