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ttering Ratio of Manganese Nodule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wdered Manganese Nodule and Sea eottom Sediment

망간단괴의 분화율과 망간단괴 분말 및 해저퇴적물의 물리적 특성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powdered manganese nodule and sea bottom sediment pumped up with nodules on the mining process, the shattering ratio of manganese nodule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are analyzed. The self shattering ratio and crushing shattering ratio are about 27% and about 3%, respectively. Then total shattering ratio is about 30%. The initial turbidity of the powdered manganese nodule and the bottom sediment show high, i.e., about 3,100 and 1,850 respectively. But their turbidities decrease rapidly with time. After 1 hour, turbidity of the powdered manganese nodule drops to about 1,570 and that of the bottom sediment to 1,310. The turbidity of Na-bentonite changes from 820 to 730 after 1 h and to 700 after 2 h. The viscosity of powdered manganese nodule is $1.4{\sim}1.5cP$, and the viscosity of bottom sediment is less than 1 cP. The viscosity fo Na-bentonite is initially 37.2 and increase with time to 86.4 cP after 30 min. The high initial turbidity of powdered manganese nodule is due to dark color of the powder. The high specific gravity makes rapid precipitation and then decreases the turbidity rapidly. The bottom sediment shows high initial turbidity because of easy suspension with very fine particle size. But it cannot be hydrated and formed gel in suspension, then it is easily precipitated. However Na-bentonite is hydrated to the expended state and makes gel state, then it shows high turbidity and high viscosity. Thes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wdered manganese nodule suggest that the powder of manganese nodule should not make scaling inside of lifting pipe or pump. And the bottom sediment lifted up with manganese nodule should not play the role of drilling mud shch as Na-bentonite.

망간단괴의 분말과 채광과정에서 함께 유입되는 해저퇴적물이 양광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망간단괴의 분화정도와 망간단괴의 분말과 해저퇴적물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망간단괴의 자체분화율과 파쇄분화율은 각각 약 27%와 3%로, 총 분화율은 약 30%정도이다. 망간단괴의 탁도는 초기에는 매우 높은 값(약 3,100)을 보이나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1 h 후에는 반으로(약 1,570) 줄어든다. 해저퇴적물 시료는 초기의 약 1,850의 높은 값에서 1 h 후 1,310, 2 h 후 약 1,110으로 빠른 감소를 보이나 망간단괴에 비해 느린 감소를 보인다. 그러나 시추용 이수제로 사용되는 Na-벤토나이트는 초기 820에서 1 h 후 730, 2 h 후 700으로 매우 변화가 적다. 망간단괴의 점도는 $1.4{\sim}1.5cP$이며, 해저퇴적물의 점도는 1 cP 미만으로 매우 낮다. 반면 Na-벤토나이트의 점도는 초기 37.2에서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여 30 min 후에는 86.4cP의 값을 보인다. 망간단괴의 탁도 초기 값이 높은 것은 망간단괴 자체의 짙은 색깔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높은 비중으로 쉽게 침전되어 탁도의 빠른 감소를 보인다. 해저퇴적물은 매우 미립으로 쉽게 분산되어 초기에는 높은 값을 보이나물과 결합하여 겔을 형성하기보다 응집되어 쉽게 침전되므로 탁도의 빠른 감소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이들 망간단괴 및 퇴적물의 구성광물은 거의 비팽윤성으로 겔을 형성하지 않아 매우 낮은 점도 값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으로 미루어 보아 망간단괴의 파쇄된 분말이 양광과정에서 양광관이나 수중펌프의 내부에 강하게 점착되어 스케일링을 형성할 가능성은 비교적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채광과정에 유입된 해저퇴적물도 그 특성상 망간단괴의 부양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수로서의 역할은 거의 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매우 미립이므로 양광 후 분리는 쉬우나 해상에서 폐기처리 할 경우 환경적인 문제의 가능성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모, 손병국, 송민섭, 박성완, 이석훈 (2002) 벤토 나이트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지배하는 요인분석. 한국광물학회지. 15. 259-272
  2. 고상모, 홍석정, 송민섭 (2003) HDTMA-, BDTDA- 및 CP- 스멕타이트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지. 16. 295-305
  3. 송민섭, 고상모, Tetsuichi Takagi (2004) 일본 벤토나이트 광상의 부존특성 및 광석의 물리화학적 특 성. 한국광물학회지. 17. 245-265
  4. 윤치호, 이상권, 최용석, 강상수, 선우춘, 강중석, 조 영도, 홍성규, 권석기, 김영주, 박용찬, 이동길, 조 규남, 최재웅, 이재환 (2006) 심해저 광물자원 양 광시스템 개발. '2005 심해저 광물자원개발 보고 서 III.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기술연구' 중에서. 해 양수산부. 221p
  5. 이현복, 지상범, 형기성, 박정기, 김기현, 오재경 (2006) 북동태평양 대한민국 광구 KR5 지역 표층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 Ocean and Polar Research. 28. 475-484 https://doi.org/10.4217/OPR.2006.28.4.475
  6. 장세원, 최헌수, 강중석, 공기수, 이성록, 장정해 (2004) KODOS 망간단괴의 $SiO_{2}$ -CaO-MnO 상관 관계와 분포양상. Ocean and Polar Research. 26. 199-205 https://doi.org/10.4217/OPR.2004.26.2.199
  7. 지상범, 김기형, 문재운, 이경용, 손승규, 오재경 (2000) 북동태평양 KODOS 지역 심해저 퇴적물의 지질공학적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 320- 334
  8. 최종수, 홍섭, 김형우, 여태경 (2006) 심해저 망간단 괴 집광시스템의 파쇄기 개념설계. 2006년 한국해 양과학기술형의회 공동학술대회. 부산 BEXCO 5 월 15-16일. 1798-1802
  9. 최헌수, 장세원, 이성록 (2000) 망간단괴 미세조직에 따른 광물조성과 화학조성의 상관관계. 한국광물학회지. 13. 205-220
  10. 최헌수, 장세원, 장정해, 강중석, 공기수 (2007) 심해 저 광물자원의 광물.지화학적 요인연구. '2006 심 해저 광물자원개발 보고서 I. 자원탐사 및 환경 연구' 중에서. 해양수산부. 299-315
  11. 홍섭, 김형우, 최종수, 여태경 (2006) 심해저 광물자 원 집광시스템 및 채광운용기술 개발. '2005 심해 저 광물자원개발 보고서 III. 심해저 광물자원 개 발기술연구' 중에서. 해양수산부. 372p
  12. Lee S.-R., Choi H., Chang S.W. and Graham I. (2001) $^{10}Be/^{9}Be$ Dating of Ferro- Manganese Nodules from the NE Pacific Ocean. J. Korea Physical Society. 39. 766-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