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지형 축산의 어메니티 및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Amen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Multi-functionality on the Grassland

  • Cheon, D.W. (National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RDA) ;
  • Lee, S.Y.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
  • Park, M.S.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
  • Park, H.S. (National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RDA) ;
  • Hwang, K.J. (National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RDA) ;
  • Yun, S.H.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o, M.S. (National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RDA)
  • 발행 : 2007.12.31

초록

본 연구는 제주 초지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여 보전의 타당성 및 정책지원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경제적 가치를 추정함에 있어 환경적 가치, 사회문화적 가치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환경적 가치는 대체법을 이용하였고 사회문화적 가치평가는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CVM 평가법을 적용하였으며 각종 Bias(편의)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 상황을 설정하여 질문하는 이단계 이선선택법을 적용하였다. 제주초지의 다원적 기능은 토양침식방지, 홍수방지, 축산분뇨처리, 대기정화 등과 같은 환경적 기능과 사료생산기능 그리고 보건, 휴양, 정서함양 등과 같은 사회문화적 기능이 있다. 이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제주초지의 연간 다원적 기능가치는 총 $397,115{\sim}418,995$백만원으로 평가되었다. 첫째, 초지의 토양침식방지 효과의 가치평가는 초지의 질소 고정금액과 객토 유실비를 환산하여 평가하였으며 나지 대비 평가액은 $19425{\sim}20,038$백만원이었다. 둘째, 제주도내에서 발생한 축산분뇨 155만4,000톤(2005년) 중 초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총살포 가능량을 해양투기 등의 위탁처리비에 의해 추산하여 계산한 결과 $8,262{\sim}11,016$백만원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초지의 대기정화 능력을 평가한 것으로 대기오염의 대표적 물질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량과 산소를 방출하는 량을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대기정화 기능 평가액은 $24,803{\sim}28,586$백만원으로 추산되었다. 넷째, 제주도 초지의 강수량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높으며 지구온난화의 영향 등으로 인한 집중호우, 태풍 등 풍수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지의 홍수방지 댐의 홍수조절 기능을 기준으로 하여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였다. 홍수 조절능력은 ha당 791ton으로 환산하여 추산하였다. 홍수방지 기능의 평가액은 $1,691{\sim}10,723$백만원으로 추산되었다. 다섯째, 초지의 생산성 평가는 제주도 초지의 주초종인 오차드그라스, 페레니얼라이그라스, 톨페스큐 등의 혼파초지의 총생산량을 추정하고, 이의 건물생산량을 제주도에서 유통되는 가격으로 환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액은 $70,493{\sim}76,190$백만원으로 추산되었다. 마지막으로 제주도 초지가 지닌 사회문화적 공익기능, 즉 농촌경관제공기능, 교육 휴양처제공기능, 전서함양기능에 대한 제주 방문객들의 평가는 매우 높았으며 특히 존재가치 및 상속가치가 높아 지속적으로 보전해야만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 조성에 찬성하는 사람들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이용하여 제주 초지의 공익적 경제 가치를 계산한 결과에 의하면 '06년 2,724억원으로 '11년에는 3,220억원이 되어 제주 초지의 환경보전 및 사회문화적 공익적 경제 가치는 매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와 같이 제주도에서 초지가 존재하므로서 갖는 여러 가지 다원적 기능의 가치는 우리가 평소에 쉽게 평가절하하고 간과하기 쉬운 환경적 요소를 다방면에서 검토하고 조사 분석한 결과로 초지의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구명하였다. 정부는 초지의 규제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초지에 대한 무분별한 개발은 오히려 제주의 환경파괴, 소중한 관광자원의 소실, 수백 년간 가축방목지로 활용되어온 축산기반의 붕괴, 유기축산 실현과 청정 환경을 유지하는 생태자원보고 천혜의 조건을 파괴하늘 것으로 초지의 전용은 미래 세대를 위한 존재가치, 환경보존 및 축산업 유지 등 여러 관점에서 보면 초지를 유지 보전하는 것이 제주도의 관광 상품성을 제고할 수 있어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economical value of Jeju grassland and validity of its preservation, and draw up several measures to support. To measure its economical value, this study examined its environmental value and social and cultural value. For environmental value, this study used replacement method while it applied CVM method, a widely used method, to assess social and cultural value and two-level two-best choice selection method, which ask questions by assuming virtual circumstances to avoid reflecting some biased opinions. Jeju grassland has multiple functions-environmental functions such as preventing soil corrosion and flood, handling animal excrement, and purifying air, and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such as promot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providing recreation places. From the results of the feasibility study, Jeju grassland's annual multiple functions are assessed to have a total $397,115{\sim}418,995$ million won worth.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Jeju visitors recognize Jeju grassland for its functions to contribute to public interests. That is, they think it can provide attractive views and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places and promote emotional development. Especially, many people presented their ideas that it be continuously preserved since it is worthwhile for us and our next generations. To preserve grassland's cultural resource, which create a huge economic value like this, the Government has to support a certain amount of financial aid for turning to a better grassland environment and its maintenance to realize environment-friendly livestock farming on Jeju Island and promote its tourism industry and consequently, add more value to Jeju.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광민. 2004.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대원사
  2. 권오상, 이태호. 2001. 농업의 다원적 기능관련 실증분석 방향제시 및 정책제안, 농촌진흥청 연구동향분석보고서
  3. 김태균. 1998. 이선선택형 가상가치평가에서의 가설적가치와 실제가치, 경제학연구. 46(4):309-322
  4. 서동균. 2001. 농업의 다원적 기능 연구와 평가 사례, 농업의 다원적 기능 평가방법,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자료 제63호
  5. 오세익, 김수석, 강창용. 2001 농업의 다원적 기능의 가치형가 연구, 농림기술개발사업 연구보고서, 농촌경제연구원, 농립부
  6. 오세익, 김은순, 박현태. 1995. 쌀 농업의 환경보전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7. 유진채, 공기서. 2001. CVM에 의한 친환경농업의 비시장적 가치평가, 농업경영.정책연구 28(2):238-254
  8. 윤봉택. 1997 제주돌이 깨어지는 소리. 서귀포 문화. 서귀포문화원
  9. 이광석. 1996. 농촌방문의 경제적 펀익. 농업경제 연구 37:147-159
  10. 이광석. 1997. 도시인의 휴가지 및 주거지로서의 농촌선택 성향분석,농업경제연구 38(1):35-46
  11. 이상영, 長各部正, 野村希品, 木各忍. 2002.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농촌경관평가의 한.일 비교. 농업경영.정책연구 29(4):639-658
  12. 이상영, 신용광, 김영. 2003. 농촌 공익기능의 보전기금에 대한 지불의사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30(3):524-535
  13. 이상영, 신용광. 2003. 주민참가에 의한 계단식 논의 다원적 기능개발, 농업경영.정책연구 30(4):688-700
  14. 이상영, 신용광, 김영. 2004. 환경자원의 가치평가, 농촌자원개발연구소
  15. 이상영, 신용광, 김영, 김은자. 2004. 관광농원의 보건휴양기능 가치평가, 농업경영.정책연구 31(2):329-345
  16. 최태길, 조재환, 김태균. 2000. 더블허들모형에 의한 품질인증 상추 수요분석, 농업경제연구 41(1):81-93
  17. Bishop, R.C. and T.A. Heberlein. 1979. Measuring Values of Extra Market Goods: Are Indirect Measures Biased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1:926-930 https://doi.org/10.2307/3180348
  18. Cameron, T.A. 1988. A New Paradigm for Valuing Non-Market Goods Using Referendum Dat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by Censored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15:355-379 https://doi.org/10.1016/0095-0696(88)90008-3
  19. Carson, R.T. 1985. Three Essays on Contingent Valuation, Ph. D.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 Cragg, J. 1971. Some Statistical Models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s with Application to the Demand for Durable Goods, Econometrica, 39:829-844 https://doi.org/10.2307/1909582
  21. Green, W.H., LIMDEP version 8.0 User's Manual, Econometric Software, INC
  22. Hanemann, W.M. 1984.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6: 322-341
  23. Heckman, J.J. 1979. Sample selection bias as a specification error, Econometrica. 47:.153-161 https://doi.org/10.2307/1912352
  24. Caddie, J., D. Redfearn, H. Zhang, J. Edwards, and S. Deng. 2006. Forage Legumes and Nitrogen Production. Oklahoma Cooperative Extension Fact Sheets. PSS-2590. Oklahoma State University
  25. Krinsky. I. and A.L. Robb. 1989. On Approximating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Elasticiti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8:715-719 https://doi.org/10.2307/1924536
  26. Nawata, K. 1992. ト-ビシト.モデルによる金融資産分析への應用について, フイナンシヤル.レビコ一,pp. 29-47
  27. Tobin, James. 1958. Estimation of Relationships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s with Application to the Demand for Durable Goods, Econometrica, 26:24-36 https://doi.org/10.2307/1907382

피인용 문헌

  1. Economic Valuation of Multi-functionality on an Eco-pastoral system in Alpine grassland vol.38, pp.4,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4.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