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단확장식 소일네일링 공법의 적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nd-Expanded Soil Nailing Method

  • 이상은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장윤호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문창열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박영선 (㈜하남기초건설)
  • Lee, Sang-Eun (Dept. of Energy and Resourc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ang, Yun-Ho (Dept. of Energy and Resourc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Moon, Chang-Yeul (Dept. of Civi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Gyo-Cheol (Dep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Sun (Hanam Construction Co. Ltd.)
  • 발행 : 2007.12.30

초록

선단 확장식 소일네일링 공법의 특징은 천공홀보다 큰 직경의 특수 비트로 공저 30cm 정도를 확장하고, 천공직경보다 큰 쐐기형 몸체를 접어서 공저에 삽입한 다음, 쐐기형 몸체를 펼쳐 공벽에 밀착되도록 한 후 그 주위를 그라우팅하고 지반에 정착시키는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공법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길이 1,300mm, 폭 1,000mm, 높이 1,100mm의 토조에 모형지반을 조성한 후 인발 및 하중재하실험을 실시하였고, 동일한 실험조건으로 일반 소일네일링과 비교하였다. 선단 확장식 네일링이 일반 네일링 공법에 비하여 인발력은 23% 정도 증가하였으며, 벽체의 수평변위는 $1.2{\sim}9.1%$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네일에 작용하는 축력은 선단 확장식은 7tonf, 일반 네일은 5tonf이후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며, 축인장 변형율 분석결과 예상 파괴선이 변체로부터 먼거리에 선단 확장식이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선단 확장식 네일링이 일반적인 소일네일링 공법에 비하여 보강효과 면에서 우수한 공법임을 입증하였다.

The peculiarity of end-expanded soil nailing method(EESNM) is in fixing the wedge-type steel body spreaded by collars and grouting its surroundings by cement milk within soils, after extending hole bottom over drilling hole diameter with top drill bit. The present study was done to establish the effect of this method. Laboratory model test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with the performance of the pull-out test and failure experiment, after preparing soil test box having 1,300mm length, width 1,000mm, and height 1,100mm, and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 was set up to compare with the general soil nailing method(GSNM). The pull-out force of about 23 percentage was increased,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s 1.2 from 9.1 percentage in soil-nailed wall decreased in EESNM compare with GSNM. The axial force acting on nail increased considerably at load level over 7 ton in EESNM and 5 ton in GSNM. The predicted failure line from the maxima analyzed by axial tensile strain located at long distance from soil-nailed wall in EESNM. The EESNM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reinforcement effect in comparison with GSNM from the results above mention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종수, 최혁, 전진규, 이송, 2001, 쏘일 네일링을 이용한 굴착토류벽의 거동 분석,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제2권 제2호, pp. 23-32
  2. 김준석, 이상덕, 이승래, 2001, 앵카형태의 지반네일로 보강된 흙구조물의 보강효과에 관한 실험적연구, 제17권 제2호, pp. 103-111
  3. 김홍택, 강인규, 권영호, 김찬동, 2002, 압력분사 그라우팅 쏘일네일의 유효경 평가와 실내모형실험, 토목공학회 논문집, 제22권 제2-C호, pp. 121-131
  4. 박시삼, 2003, 프리텐션 쏘일네일링 시스템의 적용성 및 안정해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4-45
  5. 박시삼, 김홍택, 정성필, 박성철, 2003, 스파이럴 파이프네일링 시스템의 적용성 및 휨강성을 고려한 안정성에 관한 고찰, Korean Environmental Society, Conf., pp. 241-248
  6. 임종철, 고호성, 박이근, 오명렬, 2000, 토사NATM 터널의 네일 보강에 의한 지반침하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제16권 제2호, pp.51-59
  7. Bang, S. and Yeon, H., 1990, Analysis of retaining structures with skew reinforcement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288
  8. Cheng, S. S. and Hansen, L. A., 1994, Design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of a soil nailed wall in Puerto Rico,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ASCE, No. 42, pp. 1-16
  9. Schlosser, F., Unterreiner, P. and Plumelle, C., 1992, French research pro CLOUTERRE on soil nailing,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ASCE, No. 12, Vol. 2, pp. 739-750
  10. Schlosser, F., 1993, Recommendations Clouterre/Soil Nailing Recommendations, French National Research Project Report No. FHWA-SA-93-026
  11. Shen, C. K., Bang, S. and Herrmann, L. R., 1981, Ground movement analysis of an earth support system, J. of the Geotech. Engg., ASCE, Vol. 107, pp. 1609-1624
  12. Stocker, M. F. and Riedinger, G., 1990, The bearing behavior of nailed retaining structures,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ASCE, No. 25, pp. 612-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