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지역의 풍화대 조사 및 단층파쇄 지역의 불연속면 조사를 위한 지표물리탐사

Surface Geophysical Survey for Delineation of Weathered Zone of Chojeong Area and Investigation of Fault Fracture Zones

  • 김지수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기초과학연구소) ;
  • 한수형 (한국수자원공사, 지하수조사팀)
  • Kim, Ji-Soo (Dept.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Chungbuk University) ;
  • Han, Soo-Hyung (Department of Groundwater Investigation,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발행 : 2007.12.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초정지역의 충적층 지하수와 관련된 풍화대분포를 파악하고 단층파쇄대 조사를 위해 복합물리탐사(탄성파굴절법, 전기비저항, 지하투과레이더탐사)를 수행하였다. 탄성파속도 정보로부터 풍화대는 대상지역의 남서부로 갈수록 깊어지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기반암까지의 심도 즉 풍화대의 두께는 또한 기존의 시추자료 및 지하수위 자료와 거의 일치한다. 소규모 단층과 관련된 파쇄대 조사에서는 탄성파굴절법, 전기비저항, 레이더탐사 자료를 속도와 비저항 구조를 복합적으로 천부까지 해석하여 단층파쇄대의 지표 경계등을 파악하였다. 복합 지구물리탐사로 정확히 제시된 풍화대와 파쇄대 등에 대한 정보는 충적층 지하수의 분포를 알아내는데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Geophysical surveys(seismic refraction, electrical resistivity, and ground penetrating radar) were performed to delineate the weathering zone associated with vadose water in Chojeong area and investigate the fault related fracture zones. On the basis of seismic velocity structures, weathering layer for the southwestern part is interpreted to be deeper than for the northeastern part. The depth to bedrock(i.e., thickness of weathered zone) from seismic refraction data attempted to be correlated with drill-core data and groundwater level. As for the investigation of geological discontinuities such as fault related fracture zone, seismic refraction, electrical resistivity, and ground penetrating data are compositely employed in terms of velocity and resistivity structures for mapping of surface boundary of the discontinuities up to shallow depth. Surface boundaries of fracture zone are well indicated in seismic velocity and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s. Accurate estimation of weathered zone and fracture zone can be successfully available for mapping of attitude of vadose water layer.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일룡, 김지수, 김경호, 1999, 지표물리탐사 자료의 상관해석, 지구물리, 2, 75-88
  2. 김지수, 송영수, 윤왕중, 조인기, 김학수, 2003, 물리탐사의 활용, 시그마 프레스
  3. 나기창, 1986, 충북의 자연, 충청북도교육위원회
  4. 농촌진흥공사(Korea Rural Develop. Corp.), 1999, 초정미원지구 환경영향조사 보고서
  5. 대한지질공학회, 2003, 암반의 조사와 적용, 대한지질공학회-한국지질조사탐사협동조합
  6. 한국물리탐사학회, 2002, 토목환경 분야 적용을 위한 물리탐사 실무 지침,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7. Barazangi, M., and Brown, L., 1986, Reflection seismology, A global prospective: Am. Geophys. Union, Geodyn. Ser., 13
  8. Burger, H.R., 1992, Exploration geophysics of the shallow subsurface, Prentice Hall, New York, 489
  9. Diprowin, 2000, Electrical resistivity processing software, Hee Song Ltd
  10. Gremix, 1990, Seismic Refraction Strata Processing Software, Interpex Inc
  11. Radpro, 2001, GPR processing software, Hee Song Ltd
  12. Reynolds, J.M., 1997, An introduction to applied and environmental geophysic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