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xploratory Study on Press Fairness Concept Held by Ordinary People

언론 수용자의 공정성 개념에 대한 탐색적 연구

  • Moon, Jong-Dae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Dong-Eui University) ;
  • Ahn, Cha-Soo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Kyungnam University) ;
  • Jin, Hyun-Seong (A.Q Mill School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Kansas State University) ;
  • Ahn, Soon-Tae (A.Q Mill School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Kansas State University)
  • 문종대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신문방송학과) ;
  • 안차수 (경남대학교 법정대학 신문방송학과) ;
  • 진현승 (Kansas State University 신문방송학과) ;
  • 안순태 (Kansas State University 신문방송학과)
  • Published : 2007.05.14

Abstract

The study tried to explore ordinary people's press fairness concept being neglected by the mainstream of fairness research thus far. With empirical standpoint,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un)fairness concept held by general audience, and then compared it with existing ones long suggested by experts such as scholars and media workers. Also, the study examined audience's concept construct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A systematic sample of 300 adults in Seoul was interviewed and their answers (instances of press unfairnes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The most serious problem in fairness, they pointed, was that the press's not neutral. Also, truth and balance were importantly raised as a press problem with regard to fairness. The result showed press ethics and commercial morals could be a significant element for people's view on press fairness. These elements are new to the literature and heuristic regarding how to approach toward fairness issue in our society. The study also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other findings.

본 연구는 기존 공정성 연구에서 소홀하게 취급됐던 언론의 일반 수용자 시각에서 공정성에 접근하고자 하는 탐색적 시도이다. 본 연구는 공정성 개념의 경험적 탐구라는 측면에서 일반 언론 수용자를 대상으로 (불)공정성 개념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탐색하여 기존의 개념 혹은 전문인에 의해 구축되었던 개념과의 비교를 시도했다. 또한 일반 수용자 개념 구성의 특성과 시사점이 검토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서울지역 3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591개 언론의 불공정한 사례를 모아 분석한 결과 수용자들이 느끼는 가장 심각한 불공정은 언론이 중립적이지 못하다는 것과 더불어 진실성과 균형성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개념적 구성과는 달리 일반 수용자들은 언론의 윤리성과 상업성이 불공정성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제기한 반면, 기존 연구에서 이론적으로 중요한 개념적 구성요소였던 독립성과 적절성은 수용자들에게 별로 중요한 의미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언론의 일반 수용자에게 언론의 공정성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들이 공정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어떠한 범주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가 검토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