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INICAL APPLICATION OF BUCCAL ACRYLIC APPLIANCES

Buccal acrylic appliance의 임상적 적용

  • Noh, Hong-Se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노홍석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Removable appliance has many utilities in pediatric dentistry in the fields of space maintainance or occlusal guidance. In contrast to maxilla, many problems have occurred with mandible in using removable appliance such as deteriorated retention, inconvenience and patient's unwillingness to wear. It is probably due to adapting several retentive clasps at buccal side of the tooth, where there is actually little or no undercut especially in young children having the erupting teeth Moreover, acrylic base plate of conventional removable appliance is located at lingual parts, which leads to the conflict with alveolar crest undercut and sublingual soft tissues. Moreover, young children frequently do not follow the dentist's direction to elevate tongue properly during the impression taking process. Throughout this study, the position of clasps and acrylic baseplate was changed opposite to the traditional Hawley acrylic appliance in order to make a buccal acrylic appliance with buccal base plate and lingual clasp into primary dentition and early mixed denti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buccal acrylic appliance in regards of patient compliance, retention and efficiency compared with traditional lingual acrylic appliance along with its merits and demerits. Buccal and lingual acrylic appliance were applied to 5 cases respectively which required space maintaining and tooth movement, and drew a comparison in relevance to patients' compliance, combination with the tongue's function and clinic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is study, in every case buccal appliance was proved superior to lingual appliance in terms of retention and patients' compliance. Moreover, buccal appliance has shown to be similar to lingual appliance with respect to clinical effectiveness. Throughout this study, it was thought that, if removable appliance is to be applied to mandible, several drawbacks related to conventional lingual appliance shall be resolved. Conclusively, the buccal acrylic appliance is thought to be a good alternative in designing a mandibular appliance in young children and recommended to clinical applications.

어린이의 공간유지와 교합유도의 치료를 위하여 가철성 장치는 소아치과 임상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악의 경우와는 달리 하악에서는 가철성 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 유지력의 저하에 따른 치료효과의 감소, 환자의 불편감과 거부감으로 인한 미착용 등의 문제가 흔히 발생한다. 이것은 유치열기나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경우, 하악구치부의 undercut양이 충분치 못함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협측 undercut으로부터 유지력을 얻는 각종 clasp를 적용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통적인 가철성 장치들의 acrylic base plate가 설측에 위치하고 있어 설측 연조직이나 치조능 undercut과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어린이들은 하악 장치의 작업모형을 위한 인상채득과정에서 술자의 지시대로 혀를 바르게 거상하지 못하는 예가 많은 것도 그 원인요소로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하악의 Hawley acrylic plate로부터 clasp와 acrylic baseplate의 위치를 바꾸어 협측 base plate와 설측 clasp을 이용한 buccal acrylic appliance를 유치열기 및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구강에 적용하여 그 장단점을 조사하고 환아들의 수용도와 효율성을 기존의 lingual acrylic appliance와 비교, 검토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공간유지 및 치아이동을 필요로 하는 5개 증례를 대상으로 각 증례에 buccal acrylic appliance와 기존의 lingual acrylic appliance를 모두 적용하여, 유지력, 환자 수용도, 혀의 기능과의 조화, 치료 효과 등의 측면을 상호 비교해 보았다. 조사 결과, 조사 대상의 모든 증례에서 유지력과 환아의 수용도 측면에서 협측 장치가 설측 장치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 효과의 측면에서도 협측 장치는 설측 장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하악에 가철성 장치를 사용할 경우, 전통적인 설측 장치와 관련된 각종 부작용을 해결하는 데에 buccal acrylic appliance가 훌륭한 대안으로서 임상적용을 추천할 만 하다고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