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OF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BY SURGICAL EXPOSURE : A CASE REPORT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술을 이용한 치험례

  • Cho, Y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Wa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Soon-Hy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조윤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박영옥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태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현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영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남순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The first molar is important for mastication and also it plays roles to formation of vertical occlusion and growth of jaw bone after mixed dentition. Impac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 can result in a short lower facial height, formation of a follicular cyst, pericoronal inflammation, resorption of the roots of neighboring teeth and malocclusion. The options of treatment plans are as follows; observation, surgical exposure, orthodontic traction, surgical relocation and extraction. Surgical exposure could be considered as a basic treatment plan. For surgical exposu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patent channel between the crown and the normal eruptive path into the oral cavity, many techniques including cementation of a celluloid crown, packing with zinc oxide-eugenol surgical pack are used. In these cases, we could observe spontaneous erup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 using surgical exposure with or without removal of odontoma. Also we could obtain the main patency effectively and conveniently by using surgical pack and translucent retainer.

제1대구치는 저작과 혼합치열기 이후의 수직적 교합관계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악골의 성장발육에 관여한다. 제1대구치의 매복은 하안면 고경의 감소, 낭의 형성, 치관 주위염, 인접치의 치근 흡수, 부정 교합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치료방법으로는 주기적 관찰, 외과적 노출술,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술, 발치 등이 있으며 이중 외과적 노출술이 가장 기본이 되는 술식이다. 외과적 노출술시에는 맹출로의 개방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개방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레진관의 접착, 산화 아연 유지놀 시멘트, 치주포대 등을 노출된 부위에 충전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에서 장애물의 제거와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한 결과 자발적인 맹출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surgical pack과 투명상유지장치를 사용하여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맹출로의 개방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