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amination Detection of Retrofitted Concrete Using Horn Antenna

Horn Antenna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재의 박리탐사 실험

  • 임홍철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 조영식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d usage of reinforcing materials such as carbon fibers and glass fibers, delamination detection between concrete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s needed as such delaminations may be a major cause for strength reduction or failure of a structure. In this work, 15 GHz center frequency with 10 GHz band width horn antenna was used to detect delamination between concrete and carbon fibers or glass fibers. The specimens measured $600\;(length)\;{\times}\;600\;(width)\;{\times}\;100\;(thickness)\;mm$, and glass fibers and carbon fibers with a thickness of 1.5 mm were attached on the specimens' surfaces using epoxy. In addition, artificial delaminations of size $50\;(length)\;{\times}\;50\;(width)\;mm$ were placed in the middle of the specimen with thickness of 2, 4, 6 mm respectively together with a 2 mm delamination projecting upwards from the surface of the concrete. Therefore a total of 8 specimens were used, 4 specimens for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and 4 for carbon fiber reinforced concrete, containing delamin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experiment results were derived by using the difference of area under the curved graph.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ults artifical delaminations were identified in both fiber reinforced and carbon reinforced specimens and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further development of delamination detection technology.

최근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 보강재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내구성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콘크리트와 보강재 사이의 박리탐사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심주파수가 15 GHz이고, 대역폭이 10 GHz인 horn antenna 를 이용하여,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시트 보강 콘크리트 박리를 탐사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편은 길이 $600\;{\times}$$600\;{\times}$ 두께 100 mm 의 크기를 가지며, 그 표면에 1.5 mm 두께의 탄소섬유 유리섬유를 에폭시로 부착하였다. 또한, 시편의 중앙에 길이 $50\;mm\;{\times}$ 폭 50 mm 크기의 박리를 콘크리트 표면 밑에 각각 두께 2, 4, 6 mm로 만들어 매립하였고, 콘크리트 표면 위에 2 mm 두께로 만들어, 인공박리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은 섬유의 종류에 따라 각각 4종류씩 총 8개의 시편이 제작되었다. 실험 결과는 그래프의 면적차이를 이용한 결과처리방법으로 처리하였고, 실험 결과 탄소섬유와 유리섬유시편에 매립된 인공 박리를 찾아내어, 향후 콘크리트/보강재 박리탐사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훈범, 'FRP 쉬트와 콘크리트의 계면에 대한 부착-술립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2권, 제10호, pp.101-108, (2006)
  2. 최용기, 권오엽, 배규진, 조만섭, '터널보강재로서 FRP재료의 적용성 검토', 대한터널학회논문집, 제3권, 제1호, pp. 11-19, (2001)
  3. 심종성,김규선, '건설분야에서의 FRP 사용,' 콘크리트학회지 제12권, 6호, pp. 37-43, (2000)
  4. 고훈범, 'FRP 쉬트와 콘크리트 부착성능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2권, 제8호, pp. 69-76,(2006)
  5. 이현호, 이주영,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섬유쉬트 보강공법의 결함검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6권, 제10호, pp. 70-77, (2000)
  6. M. Feng, C. Liu, X. He and M. Shinozuka, 'Electromagnetic image reconstruction for damage detection,'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Vol. 126, No.7, pp. 725-729, July, (2000) https://doi.org/10.1061/(ASCE)0733-9399(2000)126:7(725)
  7. M. Feng, F. Flavis and Y. Kim, 'Use of microwaves for damage detection of fiber reinforced polymer-wrapped concrete structures,'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Vol. 128, No.2, pp. 172-183, February, (2002) https://doi.org/10.1061/(ASCE)0733-9399(2002)128:2(172)
  8. T. Kunda, M. Ehsani, K. I. Maslov and D. Guo, 'C-scan and L-scan generated images of the concrete/GFRP composite interface,' NDT & E Int., Vol. 32, No.2, pp. 61-69, (1999) https://doi.org/10.1016/S0963-8695(98)00044-9
  9. F. Bastianini, A. Tommaso and G. Pascale, 'Ultrasonic non-destructive assessment of bonding defects in composite structural strengthenings,' Composite Structures, Vol. 53, pp. 463-467, (2001) https://doi.org/10.1016/S0263-8223(01)00058-7
  10. 임홍철, 정성훈, '비파괴 검사를 위한 콘크리트의 전자기적 특성의 측정', 대한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12권, 제3호, pp. 115-123, (2000)
  11. 임홍철, 손병오, 김유석, '단면형상이 레이더 측정이 미치는 영향 및 영상화 기법에 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9권, 제 6호, pp. 119-124, (2003)
  12. 임홍철, 이지훈, 손병오, '레이더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두께 측정과 유효 측정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비파괴검사학회지, 제20권, 제4호, pp. 296-304,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