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활용능력 교육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School Libraries in Korea

  • 김연례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
  • 홍현진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발행 : 2006.09.01

초록

본 연구는 제 7 차 교육과정 이후 학교 수업에서 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등장한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정보활용능력에 대해서 살펴보고 정보기술 수용 및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유용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주는 기술수용모형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토대로 하여,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수용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태도 정보활용능력 통합교육의 효과성, 교사의 혁신성, 사서교사와 학교도서관의 적합성과 지원, 자기효능감 등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변수들이 정보활용능 력 교육의 수용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확인해보고 이를 통해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information literacy which is the concrete purpose of the ICT using education which appeared in order to elevate the effects of education in school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at provides useful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and diffusion of IT, it deter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s follow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 effec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eachers' innovation; school library relevance; school librarians' support; and the self-efficacy. This paper confirmed the influences of these factors o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through empirical study. Through this study, it intended to suggest the ways to activate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정부는 제18차 정보화추진위원회(2002년 4월 17일)를 통해 2006년까지 향후 5년간의 국가정보화 청사진인 제3차 정보화촉진기본계획 'e-KOREA VISION 2006' 을 확정하였다. 제3차 정보화촉진기본계획은 1996년 수립된 '제1차 정보화촉진기본계획'. 1999년 'CYBER KOREA 21'에 이어 세 번째로 수립되는 국가 정보화의 중장기 비전으로서 당초 2002 년까지 계획된 'CYBER KOREA 21 '의 주요 목표들이 조기에 달성됨에 따라 앞당겨 수립되었다
  2. 교육인적자원부. 제 2단계 교육정보화 종합계획, 2001.
  3. 교육개혁위원회,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IV)(서울: 교육개혁위원회, 1997), pp.13-17
  4. AASL & AECT,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Chicago: ALA, 1998) 학교도서관 운영전반에 관한 지침서로써 1988년에 발표한 Information Power: Guideline f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의 대체이다.
  5. IFLA Home page, (http://www.ifla.org/VII/s11//pubs/sguide02.pdf) [cited 2006. 3. 10] The IFLA/UNESCO School Library Guidelines, pp.20-24
  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민 ICT활용능력 기준 및 교육과정개발연구(서울: 교육학술정보원, 2002), pp.1-3
  7. QCA Homepage, (http://www.qca.org.uk/ncr/) [cited 2006. 3. 12]
  8. 김영애,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 교육연구정보, 39(2001), pp.73-84
  9.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보화 촉진 시행 계획, 1998
  10. 손미. '정보통신기술과 초등교육과정의 통합 및 실천적 운영을 위한 고찰.' 제 14 권, 제1호(2000), p.240
  11. Paul Zurkowski, The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Relationship and Priorities(Washington, D.C.: NCLl, 1974), p.6
  12. F. W. Horto, 'Information Literacy versus Computer Literacy,'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9(Apr. 1983), pp.14-17
  13. Martin Tessmer, Deborah Fink. and Christina Woo, 'Applications of Instructional Design to Library Instruction.' Colorado Libraries. Vol.11(1985), pp.28-29
  14. W. Demo, The Idea of Information Literacy in the Age of High-Tech Syracuse(New York: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1986), pp.282-285
  15. American Library Association(ALA) Homepage. Final Report: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89), [cited 2005. 12 14]
  16. Lawrence J. McCrank. 'Academic Programs for Information Literacy: Theory and Structure.' RQ 31 (Summer, 1992). pp.485-497
  17. C. Doyle. Outcome Measures for Information Literacy within the National Education Goals of 1990. Final Report to the National Forum on Information Literacy: Summary of Findings. ED. Quoted in Sheila Webber and Bill Johnston. 'Conception of Information Literacy: New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J. of Information Science 26(6) 2000. 382. 재인용: 강혜영, '정보이용능력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6권, 제1호(2002). p.299
  18. State University of New Yark Council of Library Directors, Information Literacy Initiativ, [cited 2005, 12 14]
  19.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III), 1997, p,87
  20.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제3차 교육개혁방안('96. 8. 20)으로 교육환경을 정보화에 맞추고, 정보기술활용교육의 저변확대 및 기회 균등화를 위하여 정보기술 활용 교육의 보편화 환경구축 및 학교도서관을 멀티미디어화 하여 학생들의 지적 탐험과 자주적 학습 촉진 등을 발표하였다.
  21. AASL & AECT,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ming(Chicago: ALA, 1998). pp.8-9
  22. National Commission on Excellencein Education(NCEE) Homepage, A National at Risk: the Imperative for Educational Reform, 1983, [cited 2006. 5 14]
  23. 박영규,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박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p.14
  24. 미국사서교사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 AASL)와 교육공학회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AECT)는 정보활용능력 기준을 개발하여 정보활용능력, 독자적학습, 사회적 책임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25. 장정무, 김태웅, 이원준.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사이버 강의 수요의 영향요인,' 기술혁신연구, 제12권, 제3호 (2004), p.4
  26.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1989). pp.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27. 박순창, '정보기술 수용 모형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제14권, 제3호(1993), p.208
  28. F. D. Davis, R. P. Bagozzi & P. P.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 Management Science.' Management Science. Vol.30, No2(1992), pp.361-391
  29. 조대우. 황경연, '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한 인터넷뱅킹 이용의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영경제연구, 제1권. 제1호 (2001), p.3
  30. 김정주, 임인택, 'ICT 활용교육의 실제와 문제점 분석.' 교육논총. Vol,4(2002). p.333
  31. AASL & AECT, 정보의 힘, 김병주 역(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04), p.24
  32. 이병기, 정보활용교육론(고양: 조은글터, 2006), pp.44-45
  33. 김래연, 정보 리터러시 모델을 적용한 웹 기반 학습환경에서 메타인지 수준과 정보문제 해결능력과의 상관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 2000), pp.40-42
  34. R. Todd, 'Integrated Information Skills Instruetion: Does It Make a Difference?.'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Vo1.23, No.2(1995), pp.133-139
  35. 손미, '정보통신기술과 초등교육과정의 통합 및 실천적 운영을 위한 고찰,' 초등교육연구, Vol.14, No.1(2000) pp.240-241
  36. 손미, '자원기반학습(Resource-Based Learning)을 통한 자기 주도 학습 및 정보활용능력 신장.' 초등교육연구, Vol.13, No.1(1999) pp.185-211
  37. Clark Leavitt & John Walton, 'Development of a Scale for Innovativn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1988). p.545
  38. 김나민,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의 시장 세분화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2001), pp.13-14
  39. 김미량, 전게논문, p.4
  40. V. Venkatesh &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Management Science, Vol.46(2000), pp.186-204
  41. 이미아, 학교도서관활성화가 ICT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pp.1-2
  42. 한윤옥, '교수.학습의 장으로서의 학교도서관 운영방안,' 인문논집 6(2000), pp.283-302
  43. 이병기, '다중지능이론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7권, 제1호 (2003), pp.58-59
  44. 박명규,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pp.94-98
  45. Cynthia D. Schulz, 'Today's School Library Media Center-Technology is Key,' Educational Horizons, 75(1997), pp.78-82
  46. B. Grateh et al., Information Retrieval and Evaluation Skills for Education Students(ED351038)
  47. P. A. Ertmer, 'Addressing First-and Second-Order Barriers to Changes: Strategies for Technology Integra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47, No.4(1999), pp.47-61 https://doi.org/10.1007/BF02299597
  48. 손달호, 공명재, 강문식. '정보기술수용에 대한 동기적 요인의 영향,' 경영연구, 제18권, 제2호(2003), p.218
  49.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1982), p.211
  50.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목표지향성과 자아 효능감의 관계,' 교육학연구, 제40권, 제 6호(2002), pp.167-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