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he Patella Baja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전방 십자 인대 손상군과 정상군에서 슬개골 저위증의 비교

  • Lee, Woo-Su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
  • Kim, Sung-H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
  • Cho, Sung-Ji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
  • Lim, Ji-Hyu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
  • Chung, Whan-Yo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
  • Hwang, Cheol-Mog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 이우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성훈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조성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임지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정환용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황철목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nsall-Salvati ratio and Carton index between the patients who have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tear and the patients who have no ACL tear.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included 114 patients who had an ACL tear and received arthroscopic reconstruction. The group I was acute ACL tear group, within 3 weeks after injury. The group II was chronic ACL tear group who had MRI was done after 3 weeks from injury. The group III was normal control group. We measured the Insall-Salvati ratio and Carton index on Magnetic Resonance Images (MRI) for all patients. Results: The Insall-Salvati ratio of control group was $1.02{\pm}0.12$ and Carton index of control group was $1.14{\pm}0.16$. The ACL-tear study group was $0.91{\pm}0.12\;and\;0.89{\pm}0.20$ respectively. The Insall-Salvati ratio and Caton index in ACL tear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ng with acute and chronic ACL tear group. Conclusion: Our study show that patella baja has an association with ACL tears, therefore in patients with an ACL tear who had patella baja, ideal graft for reconstruction was seriously considered.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손상군과 슬관절의 손상 경력이 없는 정상군에서 슬개골 저위증의 빈도와 그 정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스포츠 손상 후 발생한 전방 십자 인대 파열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1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 I 군은 수상 후 3주 이내에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으로, 제 II 군은 3주 이후에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으로, 제 III 군은 정상 대조군으로 하였다. T1 강조 자기 공명영상 정중 시상면에서 Insall-Salvati ratio, Carton index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군에서 Insall-Salvati ratio는 $1.02{\pm}0.12$, Carton index는 $1.14{\pm}0.16$,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는 각각 $0.91{\pm}0.12,\;0.89{\pm}0.20$으로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과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의 비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 정상 대조군과 비교시 슬개골 저위증의 경향을 보였으며, 따라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슬개골 저위증의 경우, 이식건의 선택에 있어 세심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