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International Physical Distribution through Clearance Depot

통관거점을 이용한 국제물류의 공간적 분포 패턴

  • Han, Ju-Seo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한주성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international trade. The method is to analyze the principal components by changing interaction attribute matrix of four dimensions (hinterland, gateway, foreland and commodities) into two dimension matrix. The study area is the territory region of Cheongju clearance depot in inland. The result are as follows : Major spatial patterns of regional connections by hinterland, gateway and foreland are, in the case of exports, ten patterns and in the case of imports come to nine. Composition of major export and import commodities in Cheongju clearance depot are similar, but precision instrument manufactured commodity and nonmetal mineral are remarkable in export and mineral manufactured commodity machinery and electronic manufactured commodity are remarkable in import. Gateway are similar to export and import, bu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used more in the case of import. And Cheongiu international airport is used for some commodities and is remarkable as a foreland of import for the areas outside of Chungcheongbuk-do.

본 연구는 내륙세관인 청주세관에서 통관이 이루어진 지역을 대상으로 국제무역의 배후지와 관문, 지향지의 관계를 상호작용형 속성행렬 4차원의 행렬체를 2차원화 시켜 주성분분석을 하여 국제무역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파악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후지-관문-지향지의 지역결합에 의한 주요 공간적 패턴은 수출의 경우 10개, 수입의 경우 9개로 나타났다. 청주세관 통관지역에서의 주요 수출입상품의 구성은 대체로 유사하지만 '정밀기계 제품', '비금속광물'은 수출에서, '광물성 제품', '기계류 및 전자제품'은 수입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점이 다르다. 또 관문은 수출입 모두 유사하지만 수입의 경우 인천공항의 이용이 더 많고 청주공항을 이용하는 상품도 있어 지역공항의 이용도를 높이고 있다. 그리고 충북 이외의 지역에서의 수입의 지향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