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및 주거지역에 대한 환경대기 중 주요 악취물질의 농도특성에 관한 연구 - 안산시 반월공단을 중심으로 -

Odorous Pollutant Concentration Levels in the Ban-Wall Industrial Area and Its Surrounding Regions

  • 최여진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기현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전의찬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Choi, Ye-Ji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Kim, Ki-Hyu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Jeon, Eui-Cha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발행 : 2006.04.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악취민원이 빈발한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반월공단의 주거지역과 공단지역 등을 중심으로 주요 관리대상으로 설정된 악취성분들에 대한 환경대기 중 농도분포 특성을 2년여 기간동안 6차례에 걸쳐 조사하였다. 이들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 시간적(오전과 오후) 및 공간적(공단 내외부의 위치) 기준으로 분포특성에 대한 비교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오전시간대에 비해 오후시간대에 고농도 분포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공간적인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도 공단 내부에서 관측한 결과에서 대부분의 성분들이 고농도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안산시 주변 및 공단지역의 환경대기 중에 존재하는 악취성분들이 시간적 및 공간적 기준으로 다양한 분포특성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major odorous compounds in ambient air were investigated in the areas surrounding the Ban-Wall industrial complex of Ansan, Korea (Aug. 2004 to Sep. 2005). The results indicated the 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several major odorous compounds which include carbonyl compounds,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W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on a diurnal basis, the afternoon time concentration of most odorous compounds were notably higher than their morning time counterparts. It also indicated that the odor concentrations differed greatly, in terms of spatial grouping scheme of data sets, such as between industrial area and non-industrial area. The comparison of spatial patterns indicat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most of the compounds at the industrial area were maintained at high concentration levels, compared to the surrounding area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thus suggest that the distribution of odorous compounds in a large industrial complex can exhibit a unique pattern of their ow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현, 오상인, 최여진, 2004, 대기 중 악취황 성분들에 대한 GC 분석의 특성. 한국분석과학회지, 17(2), 145-152
  2. 안산영, 최성우, 2005,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악취원인물질의 규명. 한국환경과학회지, 14(1), 81-89 https://doi.org/10.5322/JES.2005.14.1.081
  3. 윤병석, 임익현, 정태섭, 2003, 제지공장의 악취 및 VOCs의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공학연구, 34, 93-97
  4. 최여진, 김기현, 오상인, 손장호, 2004, 연속측정방법을 이용한 도심권 대기질 내 저농도 황화합물의 관측에 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2), 195-204
  5. 최여진, 오상인, 김기현, 2003, 서울시 북동지점에서 방향족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겨울철 연속관측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5), 491-502
  6. 최여진, 전의찬, 김기현, 2005, 반원공단의 대기배출시설을 대상으로 한 악취성 황화합물의 측정과 배출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1(5), 515-524
  7. 홍윤정, 김기현, 2005, 대기 중 카보닐 계열 성분의 분석기법의 연구: 포름알데하이드와DNPH의 반응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분석과학회, 18(1), 43-50
  8. Davoli, E., Gangai, M. L., Morselli, L. and Tonelli, D., 2003, Characterisation of odorants emissions from landfills by SPME and GC/MS. Chemosphere, 51, 357-368 https://doi.org/10.1016/S0045-6535(02)00845-7
  9. Emerson, C. W. and Rajagopal, R., 2004, Measuring toxic emissions from landfills using sequential screening.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8, 265-284 https://doi.org/10.1016/S0198-9715(03)00022-X
  10. Na, K. and Kim, Y. P., 2001, Seasonal characteristics of ambient VOC in Seoul,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35, 2603-2614 https://doi.org/10.1016/S1352-2310(00)00464-7
  11. Kim, K.-H., Choi, Y. J., Jeon, E. C. and Sunwoo, Y., 2005, Characterization of malodorous sulfur compounds in landfill gas. Atmospheric Environment, 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