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간대성 해빈 퇴적물의 이동양상에 관한 연구 I. 한국 남해안의 득량만

A Study on the Transport Mechanism of Tidal Beach Sediments I. Deukr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 류상옥 (목포대학교 갯벌연구소) ;
  • 김주용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장진호 (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 조영길 (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 신상은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은고요나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Ryu, Sang-Ock (Institute of Tidal-Flat Research, Mokpo National University) ;
  • Kim, Joo-Young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ang, Jin-Ho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Rs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Cho, Yeong-Gil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Rs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Shin, Sang-Eun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Eun, Go-Yo-Na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04.28

초록

조간대성 해빈 퇴적물의 이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반도 남해안의 득량만에서 해빈 주변 표층퇴적물과 해빈 단면, 해빈 퇴적물, 해빈 퇴적률, 그리고 해빈 수리에너지 특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문 해빈은 급경사의 해빈면과 완경사의 저조단구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조차가 파고에 비해 큰 해빈 단면의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만입된 안의 중앙 해빈면은 여름에 평탄해지고 그 밖의 계절에는 파봉과 유흔이 발달하는 등 뚜렷한 계절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해빈 단면의 계절변화는 연구지역의 해빈 퇴적작용이 주로 조석에 의해 지배되지만 파랑의 영향도 강하게 받고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빈 퇴적률의 계절변화에서도 잘 나타난다. 즉, 겨울에는 강한 파랑의 영향에 의해 침식이 우세한 반면, 그 밖의 계절에는 상대적인 저에너지 조건 하에서 퇴적이 우세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해빈의 중앙은 여름에도 뚜렷하게 침식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여름에 간헐적으로 발생한 남풍 계열의 강한 바람에 의한 파랑이 해빈에 강하게 미치기 때문이다. 한편, 해빈 퇴적물은 만입된 해빈의 중앙에서는 -89.2 mm/yr로 침식된 반면, 양쪽 측면에서는 각각 60.5 mm/yr와 38.2 mm/yr로 퇴적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해빈의 중앙에 분포하는 퇴적물이 파랑이 강화되면 침식되어 양쪽 측면으로 이동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해수욕장으로 주로 이용되는 수문 해빈의 중앙은 방파제 건설에 따른 조립질퇴적물의 공급이 제한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지속적으로 침식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port mechanism of tidal beach sediments in Deukr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beach profiles, surface sediments, sedimentation rates and hydrodynamic conditions have been investigated. The beach is composed of a steep beach face and gentle low-tide terrace, showing general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ide dominated beach. Central beach face of an indented coast becomes flattened in summer, but ridge and runnel system developed in other seasons makes the beach profile rather irregular. These seasonal variations of beach profiles and sedimentation rate indicate that beach sedimentation is mainly controlled by both tide and wave processes. Erosion is prevalent in winter when strong wind wave is dominant, while deposition is dominant in other seasons. However, central beach showed an apparent erosional phase in summer. This is caused by strong waves induced by southerly strong winds occurring ephemerally during the summer. On the other hand, sedimentation rates are -89.2 mm/yr on the central beach and 60.5 mm/yr and 38.2 mm/yr on the sides. This result suggests that sediments are eroded on the central beach and subsequently transported to the both sides. Therefore, the central part of Sumun beach, used as a beach bathing site, will be continuously eroded, if nearby dyke continues to prevent the sediment supply from sour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지리원, 1987, 연안해역기본도(1 : 25,000)
  2. 기상청, 1993-2002, 기상연보
  3. 류상옥, 장진호, 조주환, 문병찬, 2004, 한반도 서해남부 임자도 해빈 퇴적작용의 계절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9(3), 83-92
  4. 신동혁, 금병철, 박은영, 이희일, 오재경, 2004, 방조제 건설 후 이원 대조차 조간대의 계절별 퇴적학적 특성 및 퇴적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615-628
  5. 오재경, 왕경희, 신기재, 1994, 동.서해안 해빈의 퇴적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5(2), 91-99
  6. 전라남도, 1996, 제2종어항(수문항) 기본계획 수립 용역보고서, 187 p
  7. 추용식, 권수재, 박장준, 박용안, 1996, 한국 서해중부 해빈에서의 퇴적작용의 계절변화. Journal of Ocean Research, 18(1), 37-45 https://doi.org/10.1016/0141-1187(96)00013-2
  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3, 서해 연안역 현생지질 및 육상 습지 연구 I. 서해 연안 현생 지질환경 특성 연구. KR-03-04, 242 p
  9. 한국해양연구원, 1993, 방조제 축조에 따른 퇴적환경변화 연구(I). BSPN 00208-625-5, 175 p
  10. 한국해양연구원, 1994, 방조제 축조에 따른 퇴적환경변화 연구 (II). BSPN 00235-716-5, 174 p
  11. Castaing, P. and Guilcher, A., 1995, Geomorphology and sedimentology of rias. In: Geomorphology and sedimentology of Estuaries, edited by Perillo, G.M.E., Elsevier Science, Amsterdam, 69-111
  12. Chang, K. H., 1987, Cretaceous strata, In Lee, D. S. (ed.), Geology of Korea. Geological Society of Korea, Kyohak-sa, 514 p
  13. Davies, R. A., 1985,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 Springer-Verger. New York, Berlin Heidelberg Tokyo, 380-444
  14. Folk, R. L. and Ward, W. 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15. Folk, R. 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s, Austin, 170 p
  16. Greswell, R. K., 1937, The geomorphology of the southwest Lincolnshire coastline. Geography Journal, 90, 335-349 https://doi.org/10.2307/1787693
  17. Guilcher, A., 1972, La plage ancienne de Castro Urdiales, province de Santander, Espagne, et son interet morphologique. Norois Poitiers, 19, 365-367
  18. Ingram, R. L., 1971, Sieve analysis. In Carver, R.E. (ed.),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Willey-Inter Science, New York, 49-67
  19. King, C. A. M. and Williams, W. W., 1949, The formation and movement of sand bars by wave action. Geography Journal, 113, 70-85 https://doi.org/10.2307/1788907
  20. Komar, P. D., 1976, Beach processes and sedimentation.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429 p
  21. Lee, H. J., Chu, Y. S. and Park, Y. A., 1999,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Marine Geology, 157, 171-184 https://doi.org/10.1016/S0025-3227(98)00159-5
  22. Masslink G. and Short, A. D., 1993, The effect of tide range on beach morphodynamics and morphology: A conceptual beach model. Journal of Coastal Research, 9, 785-800
  23. Shepard, F. P., 1963, Submarine geology. 2nd ed. Harper and Row, New York, 557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