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출산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탐방객 태도

Visitors' Attitudes about Interpretive Media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 유기준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 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Cho Woo (Division of Tourism, Sangji Univ.) ;
  • Yoo Ki-Joon (Division of Tourism, Sangji Univ.) ;
  • Kim Dong-Pi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
  • 발행 : 2006.06.01

초록

본 연구는 월출산국립공원에서 자기안내식 환경해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각종 해설매체에 대한 탐방객 인식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탐방객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96매의 설문지가 유효표본으로 이용되었다. 조사결과 '공원 이용자원 안내판'이 가장 이용률이 높은 환경해설 매체로 나타났으며 탐방로변 수목해설판, 탐방로변 문화자원 해설판, 자기안내식 자연관찰로도 비교 적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그러나 공원안내지도, 정보게시판, 공원정보제공 LED사인, 간이탐방안내소내 전시물 등은 이용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매체로 평가되었다. 공원내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중요도-성취도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중요도와 이에 대한 긍정적인 성취 수준의 응답경향이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basic visitor information for effective park management and to understand visitors' perception about the interpretive media which is utilized as a self-guid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in Weolchusan National Park. To accomplish the purposes of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hosen and the 196 valid samples among them were analyzed. Among who used the interpretive media, the largest proportion used the information board of park use-resources, and the usage rate of interpretive label of woody plant, interpretive sign of cultural asset, and self-guide tour were shown to be relatively high. However, the park brochures(map), bulletin boards, park web sites, LED sign, and visitor center exhibits were evaluated that use efficiency was low. In the analysis of importance-performance, visitors were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all form of interpretive media greatly. The performance of interpretive media was also evaluated as affirma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공원관리공단(1998) 월출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315쪽
  2. 국립공원관리공단(1999)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프로그램 및 자연해설 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자연학습탐방로 조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328쪽
  3. 국립공원관리공단(2000) 국립공원별 특성에 따른 공원관리 방안 연구, 634쪽
  4. 국립공원관리공단(2004a) 국립공원별 특성에 따른 공원관리방안 연구 II, 308쪽
  5. 국립공원관리공단(2004b) 국립공원 자연해설 안내서, 176쪽
  6. 국립공원관리공단(2004c) 제2차 탐방객이용행태 조사연구 용역, 383쪽
  7. 김성일, 황영현(1997) 스스로 알아보는 안내해설판의 교육적 효과. 환경교육 10(2)
  8. 김세천, 이상락, 박봉주, 최형근(2003) 자연휴양림 환경해설판 디자인 개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7(4): 1-7
  9. 김용근(1993) 소백산국립공원 이용자행태 조사. 응용생태연구 6(2): 226-227
  10. 김용근, 유기준(1999) 한려해상국립공원 이용객행태 조사. 환경생태학회지 12(4): 389-397
  11. 김용근, 최성식(1995) 주왕산국립공원 이용자행태 조사. 응용생태연구 8(2): 160-166
  12. 김용근, 최성식, 조중현(1996) 오대산국립공원 이용자 행태조사. 환경생태학회지 9(2): 189-196
  13. 김진선, 홍수용(2000) 국립공원 환경해설 프로그램. 한국공원휴양학회지 2(2): 122-129
  14. 손종은, 송형섭(2002a) 자기안내식 환경해설판의 기능 효과 분석 - 홍릉수목원을 중심으로 -. 한국임학회지 91(6): 742-749
  15. 손종은, 송형섭(2002b) 환경해설판 디자인에 대한 이용자 반응-홍릉수목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3): 43-50
  16. 송형섭, 김성일(2001) 환경해설 이론과 실무. 충남대학교 출판부, 114쪽
  17. 유기준, 김용근(2000) 지리산국립공원 이용객 행태 및 이용.관리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367-374
  18. 이종수(1999) 국립공원 환경해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북한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쪽
  19. 전경수(1999a) 내장산국립공원지역의 환경해설판에 의한 해설 기능 평가. 원광대 생명자원연구 21: 104-109
  20. 전경수(1999b) 환경해설판의 해설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림휴양학회지 3(1&2): 29-38
  21. 조우(2000) 한국의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로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조정학회지 28(5): 1-14
  22. 홍성문(1999) 북부내장산 국립공원 환경해설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8쪽
  23. Hammit, W.E.(1984) Cognitive process involved in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5(4): 11-15 https://doi.org/10.1080/00958964.1984.9942685
  24. Maritlla J.A. and J.C. James(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25. Medlin N.C. and S.H. Ham(1992) A handbook for evaluation interpretive services. USDA Forest Service, Ogden, 511p
  26. National Park Service(2003) Visitor use and evaluation of interpretive media. A report on visitors to the National Park System, 115pp
  27. Regnier, K., M. Gross and R. Zimmerman(1994) The interpreter's guidebook. UW-SP Foundation Press, Inc. 101pp
  28. Shapre, G.W. and G.L. Gensler(1978) Interpretation as a management tool. Journal of Interpretation 3(2):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