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stimation of Sol-air Temperature and Absorptance in Building Exterior Materials by Using the Infrared Image

적외선 열화상을 이용한 건축외장재의 일사표면온도와 흡수율 추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박사근 (동신대학교 건축공학부) ;
  • 장길수 (동신대학교 건축공학부) ;
  • 송민정 (전남대학교 바이오하우징사업단) ;
  • 신 훈 (전남대학교 건축공학부)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thod to reduce the surface temperature caused by insolation. To achieve this goal, surface temperature of building is measured and the effects of exterior material's color and brilliance were checked with infrared imaging. And also, exterior material's absorptances due to outdoor surface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measured. After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 of 37 specimen of 5 categories, the temperature is the highest on wood($53.62^{\circ}C$) and panel($52.05^{\circ}C$). Dryvit, stone, brick is the rating of order. For exterior material's absorptances, panel(0.883) and wood(0.868) were high and Dryvit, stone, brick follows wood and panel.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욱 외(1995. 2),"적외선 열화상 장치를 이용한 단열시공 진단 사례", 설비기술, 66호
  2. 손원득 외(2004),"도심지의 온열성상에 관한 연구-제1보 도심지 온열환경 예측모델을 위한 실측조사", 설비공학논문집, 제16권 제10호, pp.984-989
  3. 오기수 외(2003. 12),"열 방사율 측정시 표면거칠기의 영향", 대학용접학회, 제21권 제7호, pp.65-70
  4. 최경석 외(2004. 4),"적외선 열화상 분석기법에 의한 건축물 단열성 평가법 개발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회논문, 제24권 제1호, pp.765-768
  5. 산업자원부(2003. 6),"IR법에 의한 건축물 단열성 평가법 표준화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6. 이창 외(2001. 4), "도시 열섬현상 방지시책의 동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제1호, pp.467-470
  7. 최정민 외(1992. 4),"외기측 표면열전달율의 변화를 고려한 벽체 전열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회논문, 제12권 제1호, pp.239-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