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conomical Analysis Model for Asphalt Pavementin Congestion Area of Metropolitan

대도시 혼잡구간의 아스팔트 포장에 대한 경제성 분석 모델 연구

  • 조병완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태기호 (부천대학 토목과) ;
  • 김도근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5.05.03
  • Accepted : 2006.08.14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LCC Analysis Model and Evaluation of VE. It was carried out to help the person's intention decision about choosing the pavement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deal with 'Pavement Life Factor' like Area Character and Traffic Volume efficiently, by considering the total life cycle cost of pavement life cycle happens according to the numbers of public use year. For this, we developed the new LCC Analysis Model by using the Data of Seoul city the representative city in Korea, and carried out VE Evaluation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specialists. This Analysis Model consists of cost items that affects directly the choice of pavement construction, except for the common cost items of the various pavement construction. And we investigated the propriety by applying our model to the example line that are used for the public at present. About the base data of cost items that are used for our analysis, we enhanced our model's confidence by using the statistics data of Seoul and the standard data of unit cost calculation.

본 연구는 대도시 아스팔트 포장에 대한 포장공법에 대한 LCC 분석모델 개발 및 VE 평가에 관한 연구로 대도시 포장의 공용연수 동안에 발생하는 총 생애주기비용을 고려하여, 지역 특성과 교통량 등 포장의 수명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포장공법 선정에 대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 대도시라고 할 수 있는 서울시의 관련 자료를 토대로 LCC 분석모델을 개발하였고, 관련 실무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VE 평가를 실시하였다. LCC 분석모델 개발은 포장공법별로 공통되는 비용항목을 제외한 포장공법 선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비용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렇게 개발된 LCC 분석모델을 서울시에 현재 공용중인 사례 대상노선을 선정하여 적용해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에 사용되는 비용항목의 근거자료는 서울시 통계자료와 단가산출 기준자료 등을 이용하여 분석의 신뢰성을 높였다. 개발된 LCC 분석 모델은 대도시 아스팔트 포장에 국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개질 아스팔트와 재생 아스팔트를 일반아스팔트와 비교 분석하여 대도시의 지역 특성과 교통량 등을 고려한 최적 포장공법의 선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 교통부(2002) 교량의 LCC 분석모델 개발 및 DB 구축방안 연구
  2. 건설교통부(1999) 공공건설사업 효율화 종합대책
  3. 건설교통부(2002) 도로포장설계.시공지침
  4. 교통개발연구원(1992) 교통혼잡비용 예측 모델
  5. 권석현(2000) LCC 기법에 의한 도로포장형식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6. 박현(199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화물차량 도심통행진입제한의 타당성 분석
  7. 서선덕(1991) 도로용량 함수와 혼잡비용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2) 교통혼잡 특별관리 구역 시범사업 계획수립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7) 교통혼잡비용 산정에 포함되는 시간지체 비용 모델
  10. 서울지방경찰청(2001) 서울시 교통량 조사자료
  11. 서울특별시 (2002) 서울시 도로정비 기본계획
  12. 서울특별시 교통관리실(2001) 서울시 차량통행 속도 통계자료
  13. 임종권(1999) 구조수명간 최소기대비용에 기초한 교량의 최적 내진 안전수준의 결정을 위한 신뢰성 해석기법,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4. 재경부(2000) 원가계산을 위한 예정 가격 작성준칙(재경부 회계예규)
  15. 조효남 외 3인(2001) Latex Modified Concrete 교면공법을 이용한 포장공법의 Life Cycle Cost 분석
  16. 지성욱(2000) 효율적인 건설사업 추진을 위한 설계 VE 제도 도입기반 구축
  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2) 도로용량편람연구조사: 제3단계 최종보고서
  18. 한국도로공사 (2004) 유지보수 측면에서의 포장형식별 비교분석
  19.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2004) 시설물의 LCC 분석기법
  20. Caltrans (1999) Value Analisis Report Guide
  21. Ehlen, M. A. and Marshall, H. E. (1996) The Economics of New-Technology Materials: A Case Study of FRP Bridge Decking, Office of Applied Economics, NIST
  22. FHWA (1998) Life-Cycle Cost Analysis in Pavement Design-In Search of Better Investment Decisions (Nishikawa.k, 'A Concept of Minimized maintenance Bridges', 橋梁의 基礎, 97-8月, pp. 64-72 (in Japanese),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