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asic Properties of Latex-Modified Concrete Using Fly-ash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라텍스개질 콘크리즈의 기초물성 연구

  • 투고 : 2005.04.18
  • 심사 : 2005.10.24
  • 발행 : 2006.01.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ly-ash on strength development and durability of latex-modified concrete (LMC) and ordinary portland cement concrete (OPC). Main experimental variables were latex contents (0%, 10%, 15%) and fly-ash content (0, 10%, 20%, 30%). Air content and slump tests were performed to check the basic properties of fresh concretes, and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rapid chloride ion perme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basic properties of hardened concrete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air contents of LMC with fly ash decreased as fly-ash contents increased from 0% to 30%.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developments of LMC with fly ash were quite similar to those of LMC without fly ash. However, the long-term flexural strength development of LMC with fly ash after 90 days were bigger than that of LMC without fly ash. Chloride ion perme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decreased rapidly as the content of fly ash increased. Thus, fly ash could be used at LMC in order to reduce water permeability.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쉬 혼입률에 따른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라텍스 혼입률 변화(0%, 10%, 15%)와 플라이애쉬 혼입률 변화(0%, 10%, 20%, 30%)를 주 실험변수로 하여 평가하였다. LMC와 FA-LMC의 특성분석을 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그리고 황산 및 염산에 의한 내약품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플라이애쉬를 혼입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 있어서, 플라이애쉬 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FA-LMC의 압축 및 휨강도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LMC)와 유사한 강도발현 특성을 보이며, 장기재령에 있어서는 FA-LMC가 LMC에 비해 높은 휨강도 발현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투수특성에 있어서 플라이애쉬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투수저항성이 증가하였으며, 내화학약품성에 대한 저항성도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라이애쉬는 LMC의 혼화재로서 투수저항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헌, 이종명, 홍창우, 윤경구(2001)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투수성 및 동결융해저항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한국 콘크리트학회, 제13권 5호, pp. 484-490
  2. 윤경구, 이주형(2000) 현장적용을 위한 라텍스 개질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대한토목학회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pp. 395-398
  3. 장복기, 김윤주(2003) 미분탄 화력발전소 플라이애쉬의 포졸란 특성에 대하여, 한국세라믹학회논문집, 한국세라믹학회, Vol.40, No.7, pp. 702-708
  4. 조형곤, 양희진(1997) 석탄회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성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논문집, 제4집, pp. 179-193
  5. 최상릉(2002) 초속경 SB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개발, 박사학위 논문, 강원대학교
  6. 홍창우, 윤경구, 최상릉, 김태경(2000)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투수특성과 부착강도 특성, 한국도로포장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91-197
  7.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1997) Standard Test Method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C 1202-97
  8. Bordeleau, D., Pigeon, M., and Banthia, N. (1992) Comparative Study of Latex-Modified Concretes and Normal Concretes Subjected t Freezing and hawing in the Presence of a Deicer Salt Solution, ACI Material Journal, V.89, No.6, pp. 547-553
  9. Fontana, J.J. and Farrell, L.J. (1993) Standard Specification for Latex-Modified Concrete(LMC) Overlays, ACI 548.4-93
  10. Ohama, y. (1995) HANDBOOK OF POLYMER-MODIFIED CONCRETE AND MORTARS, Noyes Publication
  11. Sprinkel, M.M. (1980) Twenty Year Performance of Latex Modified Concrete Overl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35,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pp. 27-35
  12. Kuhlmann, L.A. (1981) Performance History of Latex-Modified Concrete Overlays, ACI Publication SP-69 : Application of Polymer Concrete, pp. 205-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