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근로빈곤 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ing Poor in Korea After the Financial Crisis

  • 발행 : 2006.04.30

초록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의 제 1차~6차년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근로빈곤(working poor)의 규모 및 특성, 그리고 동태적 이행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빈곤가구의 절반 이상이 근로빈곤(working poor)가구이며, 취업자가 있는 가구의 상당수는 빈곤상태에 놓여 있다. 그러나 근로빈곤가구는 빈곤의 진입과 이탈이 매우 활발하고 미취업가구에 비해 빈곤에 빠질 위험성이 낮으며, 빈곤에 빠지더라도 곧장 벗어날 확률이 높다. 가구주의 연령이 높고 저학력일수록 근로빈곤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임금근로가구에 비해 자영업가구와 임금 자영업 혼합가구의 근로빈곤 위험성이 높다. 근로빈곤의 해소를 위해 빈곤 취약계층의 능력개발과 좋은 일자리의 창출이 중요하다. 특히 좋은 일자리의 창출은 고용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소득불평등의 완화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자영업가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의 제고와 더불어 근로빈곤계층에 대한 합리적인 사회복지 지원책의 마련도 요구된다.

Using 1998~2003 data of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we analyze the scale, characteristics, and dynamic transition of working poors. The result shows that more than half of the poor families are working poors and that a considerable portion of economically active households is in poverty. However, compare to other kinds of poor families, working poors can easily escape from poverty once after they entered into poverty. When household head is elderly and less educated, the risk of working poor is relatively high. Also, self-employed households have high risk of working poor compare to households having wage worker(s). To ease the problem of working poor, creation of decent job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vulnerable groups are important. Especially, the creation of decent jobs will do critical roles not only in solving employment issues but also in moderating income inequality among families. Policy development for self-employed in the brink of poverty and establishment of a solid social security system for working poors are also recommend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