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emale user's in automobiles design -focusing on inter design of automobiles

자동차디자인에 있어서 여성유저에 관한연구 - 실내편의장치 디자인을 중심으로 -

  • 박억철 (건국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산업디자인학부 인더스트리얼디자인) ;
  • 윤명한 (건국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산업디자인학부 인더스트리얼디자인)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female drivers, study their characteristics and needs, and create automobile designs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The power of female consumers is greatly increasing in a modern society, To the extent that women became the core consumers. Companies are now turning their attention to female consumers in order to survive the fierce competition in the saturated markets. Moreover, it is becoming imperative for companies to actively develop products and services in female perspectives to meet the diversified needs of consumers. It is forecasted that vigorous researc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unique culture of women will be increasingly important now that women are emerging as core consumers. Only the companies that makes such efforts consistently can dominate the market. The automobile industry is not an exception. The world's major automobile companies including Volvo and Ford Motor Co. are keenly focusing on automobil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s for women. Korean companies are also designing cars that cater to women, starting with Lanos and Juliet of Daewoo Motors in 1998, yet specific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subject has not been made.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power of female users, make a research and analysis on their needs and characteristics, and suggest car interior designs that cater to them.

현대는 여성이 소비를 리드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소비시장에서 여성의 파워가 신장되고 있고, 기업들은 기존시장의 과다경쟁과 포화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여성이라는 소비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소비자 욕구가 다양화되어가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기업들은 새로운 시장 전략으로써 여성시각에서 상품과 서비스 개발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앞으로 소비시장의 주역으로 주목받고 있는 여성들만의 독특한 문화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이해, 조사연구의 필요성이 커지며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기업만이 시장선점에 앞장설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업계도 예외는 아니어서 볼보, 포드자동차를 중심으로 여성전용 자동차 디자인 및 편의장치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1998년 대우자동차의 '라노스, 줄리엣'을 시작으로 국내에서도 여성자동차 유저를 위한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구체적이고 연구결과가 제시되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여성자동차 유저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실내편의장치를 중심으로 여성자동차 유저의 특성 및 니즈를 조사,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적용한 디자인을 제안하여 여성구매자들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