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피해에 따른 지역적 취약성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Change of Regional Vulnerability to Flood

  • 홍지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황진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 : 2006.12.31

초록

최근 들어 강원도 및 경상북도 지역에서의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강수 패턴이 변화하는 현실에서 적극적인 홍수 대책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 방재의 정책적 기반이 될 정확하고 정량적인 취약성 산정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과거 20년간 한반도에서 발생한 홍수의 피해액에 근거하여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1980년대에는 남부지방(경상남도, 전라남도)에서 침수와 범람으로 농경지 유실과 선박 부문에서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후에는 전체 피해액에서 남부지방에서의 피해가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고 중부지방(충청남도)은 점차 피해율이 증가하지만 전체 피해규모는 유지되는 경향을 보인다. 남부지방의 피해가 감소하는 것에 비해 북부지방(강원도, 경기도)과 산간지역(경상북도)의 홍수 피해율은 상대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피해규모는 20년간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남부지방의 과거 피해 발생요인이 침수인 것에 반해 경상북도와 강원도 지역의 피해는 침수면적과의 상관관계가 적어 침수보다는 다른 요인에 의한 공공시설물의 피해가 크다. 홍수 피해액이 홍수 피해의 영향과 이에 대한 대응조치가 동시에 작용하여 나오는 결과물이라고 할 때, 본 연구의 피해액을 이용한 취약성 평가는 향후 기후환경변화에 따른 간접적인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Recently, the damage by fresh flood increases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of the north-eastern area of Korea. Even though the recent pattern of rain fall keeps changing, there is no strategy to mitigate damage by disaster. For the appropriate measure and policy for decreasing damage, an index for vulnerability is necessary to provide evidence of local climate change. The present work analyzes the flooding damage cost during the past 20 years. During 80's, the southern area of Korea was seriously damaged by over-floods on the agricultural ground. After that time, the loss and damage has decreased in the southern area but the middle part has shown slight but distinct increases of damage. The absolute coast of damage in the northern part has kept constant. However, the relative regional damage to the total country damage has kept increasing over 20 years in the same area. The surface area of floods i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regional damage cost in the southern part but the north-eastern part has weak correlation between flooded area and cost. It implies that the recent damage in the north-eastern mountain area was not caused by flood itself but the other factors such as avalanches. The present work expects that the damage cost can be a good proxy value for index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