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제품구매 결정요인들에 관한 모델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Consumers' Green Purchase Behavior

  • Kim, Yeonshi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egu University)
  • 투고 : 2005.12.20
  • 심사 : 2006.02.13
  • 발행 : 2006.07.31

초록

본 연구는 친환경제품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선행요인들을 설명한다. 먼저 친환경제품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는 세 가지 주요 심리요인-개인가치, 환경태도, 제품속성에 대한 선호도-를 논의하고, 이들이 어떻게 친환경구매결정과 관계하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논의된 주요 변인들간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개념적 모델을 제안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박애 및 보편주의 성향이 강한 가치관은 개인의 환경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보편주의 가치성향은 제품의 친환경속성 선호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정가치성향은 환경태도와 제품의 친환경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환경제품구매행위에도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의 친환경속성에 대한 선호는 환경태도와 친환경제품구매행위 사이의 중요 매개변수로 나타났으나 제품의 가격속성에 대한 선호는 두 변수간 매개변수의 역할에는 실패했다. 본 연구의 특징은 친환경제품구매행위의 근간으로 개인가치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었으며 그들의 설명력을 높여주는 주요 매개변인들의 역할을 보여주었다. 이는 적합한 매개변인의 고려가 기존의 가치-행위 그리고 태도-행위간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친환경마케팅에 유용한 실제적인 적용들을 제시한다.

In the growing field of green marketing there are various psychological influences that can lead to green purchase behavior. An understanding of these influences can lead to greater green marketing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veral value types, environmental attitudes, and preference for product attributes on green purchase behavior. To this end, a conceptual model has been proposed and tested for empirical verification with the use of a survey. Data collected from 266 Korean respondents a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Results provide support for the proposed model, demonstrating positive links among universalism, environmental attitudes, preference for environmental attribute, and green buying behavior. It indicates that individuals with universalism as a preferred value type are high in their environmental attitudes and finally, tend to buy green products through their preference for environmental attribute. The mediating role of preference for price is not significant betwee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green purchase behavior. The present findings, in addition, contribute the width of understanding of various proenvironmental behaviors by focusing on green purchase behavior and surveying with a Korean sample.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s of green marketing are discussed.

키워드

과제정보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Daegu University Research Grant,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