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Elements and Aerosols Number Concentration at Gosan, Jeju for $2001{\sim}2003$

제주 고산 지역의 에어러솔 수농도 변동과 기상요소와의 상관성 연구 : 2001-2003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With the aim to develop the monitoring technology on background atmosphere and climate change over Korean Peninsula, observations and studies on chemical, 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atmospheric aerosols are mad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are measured with Optical Particle Counter from 2001 to 2003 at Gosan for 8 size intervals from 0.3 to $25{\mu}m$ diameter range. For the seasonal variation, the number concentration of coarse particles in spring at Gosan was higher than other seasons due to the influence of sand storm in spring.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ine particles ($0.3{\sim}0.5{\mu}m$)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such as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and visual range,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concentration of small particles ($0.5{\sim}2.23{\mu}m$) and relative humidity showed a positive value. This trend was inversed for the case of wind spe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showed a small decreasing tendency with increasing wind speed for small particles but the high wind speed in winter season increased coarse particle concentration. Finally, Particles most efficient in light extinction were found to be at the size of about $0.5{\sim}1{\mu}m$.

기후변화와 관련한 한반도 배경대기의 에어러솔에 대한 특성 연구는 관측된 입자 수농도와 대기 복사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에어러솔의 물리적, 화학적 및 광학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에어러솔의 물리적 특성 연구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제주도 고산관측소에 설치된 광학입자계수기(Optical Particle Counter, OPC)로 $0.3{\sim}25{\mu}m$직경의 에어러솔을 8개 구간으로 나누어 관측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황사의 발생률이 높은 봄철에 조대 입자($2.2{\mu}m$이상)의 수농도가 다른 계절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상요소 (상대습도, 풍속, 풍향, 시정 등)와 입자 수농도의 상관관계 분석에 의하면 $0.3{\sim}0.5{\mu}m$ 크기 구간에서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0.5{\sim}2.23{\mu}m$ 구간에서는 에어러솔 수농도와 상대습도가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속과의 상관성에서 작은 입자들은 풍속이 강해질수록 감소하는 패턴으로 분석되었으며 겨울철에는 조대입자 수농도가 높은 풍속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정거리는 $0.5{\sim}1{\mu}m$ 크기 정도의 에어러솔 수 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어러솔 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시정거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회, 김원형, 한진석, 선우영, 문길주 (2003). 1997-2001년 제주도 고산지역 PM2.5 미세분진의 오염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 263-273
  2. 김용표, 문길주 (1996). 토양 성분이 입자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도 고산에서의 1994년 측정결과 모사, 한국대기보전학회, 12, 289-296
  3. 김지영, 최병철 (2002). 한반도에서 측정된 에어러솔의 크기 분포와 지역별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38, 1225-0899
  4. 대기환경연구회 (1998). 대기오염개론, 동화기술, 127-134
  5. 배귀남, 김민철, 임득용, 문길주, 백남준 (2003). 2001 년 겨울철 서울 대기 에어로졸의 입경별 수 농도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19,167-177
  6. 백남준, 이종훈, 김용표, 문길주 (1996). 1994년 6월 서울지역 시정장애의 측정 및 분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 407-419
  7. 신도식, 김산, 김정식, 치주완 (1999). 안면도에서 1998년 봄철에 관측된 황사의 광학적 특정,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5, 739-746
  8. 신혜정, 김지영, 최병철, 오성남, Jianzhen Yu, Keith Bower (2002). ACE-Asia 집중관측기간에 제주고 산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분포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 487-501
  9. 전영신, 김지영, 최재천, 신도식 (1999). 황사시 서울과 안면도의 대기 중 에어로졸 수 농도 특성,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5, 575-586
  10. 조경숙, 김영화, 이종국 (2003). 만주에서 발원한 황사 현상, 한국기상학회지, 39, 251-263
  11. 정관영, 빅순웅 (1995). 한반도에 황사 출현시의 종관기상 특정. 한국기상학회지, 31, 45-63
  12. 정창훈, 전영신, 최병철 (2003). OPC (광학적 입자 계수기)로 측정한 2001년 서울지역 에어로졸의 입경분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 515-528
  13. 초재천, 차주완, 방소영, 윤용훈 (2002). 2001년 봄철 안면도에서 관측된 황사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8, 105-117
  14.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 대기오염물질의 측정기술. 231pp
  15. Carlson, R. J. and J. Heintzenberg (1994). Aerosol Forcing of Climate, John Wiley& Sons, 52-56
  16. Chaumerliac (1984). Evaluation des depots humides des polluants atmospheriques dans un modele meteorogique a mesoechelle. 1 Captation Dynamique, N. Chaumerliac, Note IOPGn 74, 1984
  17. IPCC (1995). Climate Change 1995.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edited by J. H. Houghton et 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572 pp
  18. Marticorena B. and G. Bergametti (1995). Modeling the atmospheric dust cycle: l.Design of a soil-derived dust emission scheme. J. Geophys. Res., 100, 16,415-16,430
  19. Nho-Kim, E.-Y., M. Michou, V.-H. Peuch (2004). Parameterization of size-dependent particle dry deposition velocities for global modeling. Atmos. Environ, 38, 1933-1942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4.01.002
  20. Penner, J.E., R.J. Charlson, J.M. Hales, N. Laulainene, R. Leifer, T. Navakov, J. Ogren, L.F. Radke, S.e. Schwartz, and L. Travis (1994). Quantifying and Minimizing uncertainty of climate forcing by anthropogenic aerosol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5, 375-400 https://doi.org/10.1175/1520-0477(1994)075<0375:QAMUOC>2.0.CO;2
  21. Erimblecombe P. (1996). Air composition & chemistry, Cambridge unvicersity press. 55-80
  22. Seinfeld, J.H., Pandis, S.N. (1998). Atmospheric chemsitry and physics. Wiley- Interscience, New-York, 1326pp.
  23. US DOI, Federal land managers' air quality related values workgroup (FLAG) phase 1 report, December 2000 (http://www2.nature.nps.gov/air/permits/f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