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안렌즈 표준화의 필요성과 규격에 관한 연구

The Necessity and Requirement of Trial Lens Set Standardization

  • 투고 : 2006.05.10
  • 발행 : 2006.07.31

초록

본 연구를 하게 된 목적은 전국의 약 7681개의 안경업소와 안과병 의원 그리고 콘택트렌즈 전문점에서 타각적 굴절 검사를 한 후 자각적 굴절 검사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검안렌즈세트(Trial lens set)가 표준화 된 규격이 미흡하고 안광학적 허용 오차도 규정되어 있지 않고 표기된 굴절력과 실제 렌즈 도수가 상의한 것이 많아 이를 개선하고 검안렌즈 규격에 표준화를 만들고자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검안렌즈 세트를 사용하는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보수교육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국내에서 사용하는 제품과 수입 제품을 사용하는 안경원을 설정하여 이들이 사용하는 김안렌즈 세트를 사용하기에 따라 5년 미만, 5~10년, 10년 이상 각 5곳씩 검안렌즈를 선정하였으며, 표기된 굴절력과 실제렌즈를 측정하여 일본공업규격(JIS T4402)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검안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 중인 접안렌즈의 굴절력에 대한 신뢰성이 응답자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구입후 한 번도 표기된 굴절력과 실제도수를 측정해보지 않았다. 또한 한국산업규격(KS P4402)은 1979년도에 제정되어서 현재 사용하는 렌즈세트에서 빠지는 도수가 많다. 응답자의 95% 이상이 시력검사시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또한 굴절력에 대한 오차는 사용기간이 오래된 검안렌즈 일수록 오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은 우리나라도 검안렌즈 규격을 표준화시키고 한국산업규격(KS P4402)에서 규정된 렌즈 세트에서 빠지는 도수에 대한 렌즈 세트를 추가시켜야 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표준화된 검안렌즈를 검사 및 관리 감독하는 기관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내에서 생산하는 제품이나 외국에서 수입되는 제품도 독일이나 일본처럼 안광학적 허용오차를 규정히여 이를 검사하고 규격에 맞는 검안렌즈 세트가 유통되기를 바란다. 국민의 안보건 향상과 시기능 관리를 위해서 정확한 시력검사를 해야 하고 누구나 똑같은 표준화된 검안렌즈 세트를 사용하고 규격과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검안렌즈 세트가 규정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rovements and standards of trial lens, in a situation that there is a lack of standards of trial lens set that have been used for self-conscious refraction test after helm refraction test at about 5,000 opticians, ophthalmologic clinics and hospitals, and contact-lens shops, that there is a lot of discrepancies between refraction specified and the actual power, and that there is no regulation of optical tolerance error. For the study, opticians who have used Trial lens set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and divided into those who have used domestic lens and those who have used imported lens, 5 opticians each for less than 5 years, 5 to 10 years, more than 10 years. The measurement of both refraction specified and the actual diopter was compared to Japan Industrial Standards(JIS T4402).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more than 80% of respondents have had reliability on the refraction of trial lens they had used, indicating that they have never measured the refraction specified and the actual diopter after buying them. Besides, Korean Industrial Standards(KS P4402) has been imperfect in diopter range since it was legislated in 1979. More than 95% of respondents have been unsatisfied with optometry. Also, it has indicated that refraction error is more frequent in long-term-used trial lens. The conclus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rial lens set and that it is required to add lens to lens set provided under KS P4402. Moreover, it is necessary to have supervisory agency for a standardization of trial lens. I hope that both domestic lens and imported lens, as in German and Japan, will be tested to find whether they meet optical tolerance error and standard trial lens will be distributed. Good optic inspection i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eye health and optical function, and the same standard trial lens set should be used. whoever is tested. Also, I hope that trial lens set will be specified within standards and tolerance erro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