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산업별 독성물질 배출과 인체유해도 측정 -산업연관분석의 응용-

Human Toxicity Index and Toxic Substances Emissions in Korea Industries

  • 이해춘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부 연구부) ;
  • 김익 (친환경상품진흥원) ;
  • 허탁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 발행 : 2006.09.29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산업별 독성물질 배출량을 이용하여 산업별 인체유해도를 측정한 것이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146종의 인체유해화학물질 배출량과 2000년도 산업연관표이다. 분석결과, 총배출 강도가 높은 산업의 순위는 목재나무제품펄프종이(1.1632) >유기화학기초제품(0.9750) >기타화학제품(0.9620) >플라스틱제품(0.3804)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0.3412) >선박 및 기타 수송장비(0.3275) 등이다. 또한 인체발암지수는 산업 전체가 $11.86198{\times}10^3$(이미지참조)이며, 산업 평균이 $0.26360{\times}10^3$(이미지참조)으로 계산되었다. 인체유해도가 높은 산업의 순위를 보면, 자동차 및 부문품(7.85033) >선철 및 강반성품(4.57409) >철강 1차 제품(4.36668) >선박 및 기타 수송장비(3.43293) >무기화학기초제품(2.64379) 등이다. 총배출강도나 인체유해도 등은 인체유해 화학물질 감축을 위한 수요 및 산업 정책을 전개할 때, 규제산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has assessed the industrial human toxicity index by means of toxic substances emissions in South Korean industry. The data used in analysis are the 146 kinds of the toxic chemicals emissions and final demands, total outputs in the input-output table. As a results, human carcinogenic index was $11.86198{\times}10^3$ for overall industries, and $0.26360{\times}10^3$ for average. The industries of higher human toxicity index can be ranked as follows: Mother vehicles and parts (7.85033) > Pig iron and crude steel(4.57409) > Primary iron and steel products(4.36668) > Other transportation equipments and parts(3.43293) > Inorganic basic chemical products(2.64379), etc. Such result can be considered as the priority order of regulation based on industrial characteristics, when the demand and industrial policie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deduction fof toxic substanc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