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체유해도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Human Toxicity Index and Toxic Substances Emissions in Korea Industries (한국의 산업별 독성물질 배출과 인체유해도 측정 -산업연관분석의 응용-)

  • Rhee, Hae-Chun;Kim, Ik;Hur, Ta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5 no.4
    • /
    • pp.643-672
    • /
    • 2006
  • This study has assessed the industrial human toxicity index by means of toxic substances emissions in South Korean industry. The data used in analysis are the 146 kinds of the toxic chemicals emissions and final demands, total outputs in the input-output table. As a results, human carcinogenic index was $11.86198{\times}10^3$ for overall industries, and $0.26360{\times}10^3$ for average. The industries of higher human toxicity index can be ranked as follows: Mother vehicles and parts (7.85033) > Pig iron and crude steel(4.57409) > Primary iron and steel products(4.36668) > Other transportation equipments and parts(3.43293) > Inorganic basic chemical products(2.64379), etc. Such result can be considered as the priority order of regulation based on industrial characteristics, when the demand and industrial policie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deduction fof toxic substances.

  • PDF

Comparative Study on Biological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s and Gamma-radiation with Tradescantia Micronucleus Assay (자주달개비 미세핵 분석법을 이용한 전자파 및 감마선의 생물학적 영향 비교 연구)

  • 김진규;신해식;이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63-464
    • /
    • 2003
  • 현대인들은 다양한 전자기기 휴대폰, 컴퓨터, 전자레인지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에 뇌를 노출시키고 있다. 전자기기의 전자파는 뇌에 중대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조기 노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전자파의 실질적인 위험은 뇌가 열을 받는 것이 아니라 비열방사선이라고 널리는 강도가 낮은 방사선이라고 한다. 휴대폰, 컴퓨터의 모니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장시간 노출로 인한 각종 전자파 유해가 생기고 여러 가지 신경 계통에 대한 장해가 증가하고 있다.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서로 상반되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Nontoxic Flame Retardant Paint (친환경 무독성 난연도료에 대한 연구)

  • Do, Young-Woong;Kwon, Myeon-Joo;Joo, Hyun-Ku;Yoon, Jae-Kyung;Ha,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05a
    • /
    • pp.336-3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U에서 발효되는 6대 규제유해물질(Pb, Hg, Cd, $C^{6+}$, PBB/PBDE)과 환경부 규제유해물질에 의해 도료의 유해조성물질을 제한하게 됨에 따라 VOC(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이 적고, 브롬계/할로겐계를 탈피하여 인체안전성 확보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방염제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KOFEIS 0201)에 부합하는 수용성 유 무기계 난연도료를 개발하였다. 친환경적인 난연도료 제조에 대한 최적조건으로 Mg(OH)$_2$, $Sb_2O_3$, 붕산아연을 1:2:2로 혼합한 난연제 그리고 바인더(마이셸 2%)와 물의 비율을 1:1로 제조한 후, 난연제:(바인더+물)을 1:1로 제조한 난연도료 3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Volatile Hazardous Compounds in Alcoholic Beverages (주류 중 휘발성 유해성분)

  • Chung, Hyun;Yoon, Mi Kyung;Kim, Meehye;Park, Sung-Kug;Lee, Joongoo;Kim, Young-Su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5 no.3
    • /
    • pp.141-148
    • /
    • 2012
  • Recently, concerns about the volatile hazardous compounds including acetaldehyde, methanol, and fusel oils in alcoholic beverages, which cause hangover such as headache and dizziness after consumption, have been raised. The volatile hazardous compounds might also lead to an increased incidence of liver diseases and even cancers with a high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Acetaldehyde is a volatile compound naturally found in alcoholic beverages and used as flavor in many foods. However this is also regarded as possibly being carcinogenic to humans. Furthermore, acetaldehyde with alcoholic consumption is recently classified as Group 1, carcinogenic to humans. On the other hand, methanol is generated from demethoxylation of pectin by pectinolytic enzyme during alcoholic fermentation. Higher alcohols occur naturally in alcoholic beverages as by-products of alcoholic fermentation and are generally regarded as important flavor compounds. In the current study, we reviewed on the health concern, maximum levels, analytical methods, and current levels of hazardous volatile compounds in alcoholic beverages.

Heavy Metal Analysis of Inhabitants from City of the Seoul, Korea (서울지역 거주 성인 모발의 유해 중금속 함량 분석)

  • Im, Eun-Jin;Ha, Byung-Jo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5 no.1
    • /
    • pp.27-32
    • /
    • 2009
  • Human hair is an excretory system for trace metals and thus metal content in human hair can reflect the body status. The investigation of trace elements in human hair has been correlated with the diagnosis of various diseases as well as the monitoring of deficiency statues in nutrition. Many chronic diseases may be related to mineral status, some may be related to toxic mineral. Hai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20 inhabitants of the city of Seoul, Korea.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10 elements (Hg, Pb, Cd, Al, As, U, Bi, Sb, Ba, Be) in hair were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scopy (ICP-MS). The conclusions showed that people in Seoul, Korea were affected by some kinds of toxic minerals. The Hg concentrations of male a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and reference range. The mean concentration of Sb was higher in the female than male and reference range. In age distribution, the mean concentration of Hg was in 40's are higher than 20's and 30's and reference range. The concentrations of Al were the highest in the 20's. After analyzing, we concluded that a compounded treatment should be conducted, which considers the variety of factors related to detoxification.

유/무기 하이브리드 기술을 이용한 서방형 가공제 합성 연구(2)

  • Park, Seong-Min;Gwon, Il-Jun;Kim, Sang-Uk;Mun, Du-Hwan;Yun, Nam-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99-99
    • /
    • 2011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천연 기능물질을 이용한 고기능 및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이 여러 산업분야에서 일반화되는 추세이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캡슐은 원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을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제품에 부여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을 오랜 기간 동안 외부로 방출하거나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캡슐은 의약분야 제초제, 멸충제, 곰팡이 방지제, 살균제로 적용되는 농약분야, 식품 분야, 화장품 분야 등의 전반에 걸쳐 응용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나노 합성기술과 유/무기 하이브리드를 이용해 서방화 관련 기술을 개발하여 보습성, 항균, 노화방지, 외부 유해물질로부터의 피부보호 특성을 가진 인체 친화형 복합기능성 섬유 가공조제를 개발하여 다양한 섬유소재에 적용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기존 선진국 제품의 기능을 뛰어넘는 원천기술, 즉 새로운 가공제 합성과 응용성, 그 성능평가와 동시에 최적의 처리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섬유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미터 직경을 갖는 침상형의 주형(hydroxyapatite)을 이용하여 중공 나노구조체를 제조 한 후 이에 천연고분자를 혼합하여 초음파처리 후 유/무기 하이브리드 기술을 이용한 서방성 가공제를 합성하였다. 중공의 나노구조체 확인은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였으며, 주형의 나노구조체는 주사전자현미경(FE-SEM)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나노구조체의 새로운 합성방법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Nontoxic Flame Retardant Paint (친환경 무독성 난연도료 개발연구)

  • Do, Young-Woong;Ha, Jin-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5
    • /
    • pp.1354-1358
    • /
    • 2008
  • Environmental-friendly nontocxic flame retardant paint which can overcomes the restriction of harmful materials for human body and environments such as Pb, Hg, Cd, $C^{+6}$, PBB/PBDE by EU and domestic Ministry of Environment was developed. Developed paint is the water-soluble organic inorganic hybrid material that VOC(volatility organic compound) discharge is low, and that human riskine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minimized not using the kinds of halogen materials. $Mg(OH)_2$, $Sb_{2}O_{3}$, and Zinc borate were used as flame retardant materials, 2% Micell and water were used as binder and solvent,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e optimum activity was obtained when the ratio of those frame retardant agents($Mg(OH)_2$, $Sb_{2}O_{3}$, Zinc borate made by 1: 2: 2), binder(2% Micell) and water was 1: 0.5: 0.5.

Clinical pharmacogenetics (임상약물유전학)

  • 권준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7.11a
    • /
    • pp.81-85
    • /
    • 1997
  • 인체에 투여된 약물의 반응은 개체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환자에게 투여된 약물의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남으로써 치료의 실패나 흑은 약물의 유해작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개체 상호간의 약물반응의 차이는 환경적인 요소, 영양학적인 요소, 연령, 병용한 다른 약물 및 이미 앓고 있는 질병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나 특히 유전적으로 결정된 약물대사 능력의 차이에 의해서도 기인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약물 대사의 유전적인 다양성과 비정상적인 반응을 다루는 약물유전학의 중요성은 최근 두드러지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유전적인 요인으로 개체간의 차이는 효소의 유전적인 결핍과 관련이 있으며 이 결핍은 생체이물질에 대한 반응의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는 약물대사 능력의 다형성에 기인한다. 또한 약물반응의 다양성은 인종간, 특히 동양인과 서양인에서의 약물반응에서도 차이가 있어 각 인종간의 약물반응의 차이에 대한 연구와 이의 원인규명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약물용량과 약물반응, 특히 약동학적 변화의 인종간의 차이와 각 개인의 차이 및 이의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driving power supply unit design of the track special vehicle considering the urban railway underground environment (도시철도 지하환경을 고려한 궤도특수차의 주행동력장치 설계 검토)

  • Lee, Jae-Bong;Na, Youn-Il;No, Kyung-Won;Seo, lL-Kwon;Lee, Hwan;Kim, Ya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71-1572
    • /
    • 2015
  • 기존 궤도특수차는 디젤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시철도 지하환경을 오염시키고 유해한 배기가스가 인체에 악영향을 준다. 따라서 경제성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하이브리드형 궤도특수차를 개발하기 위해 이에 따른 궤도특수차의 주행동력장치에 대한 설계조건을 규명하고자 한다.

  • PDF

Biodegradation effect of cross-cultivated fungi and edible mushrooms on plastic films (식용버섯과 진균 교차 배양을 활용한 플라스틱 필름의 생물학적 분해효과)

  • Doo-Ho Choi;Eunji Lee;Gi-Hong An;Kang-Hyo Lee
    • Journal of Mushroom
    • /
    • v.22 no.1
    • /
    • pp.31-36
    • /
    • 2024
  • Plastics are widely used in industries in human society and because of their structural stability, degradation is a serious global issue. To estimate the degradation of plastic, 31 edible mushrooms were cultured with the selected plastic films (polyethylene [PE], polystyrene [P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or 3 months at 25 ℃.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ilms showed that four species of mushrooms, namely Porostereum spadiceum, Ganoderma lucidum, Coprinellus micaceus, and Pleurotus ostreatus, exhibited the highest degrees of plastic degradation. In addition, the mushrooms and fungi that exhibited the most significant plastic degradation were cross-cultured to promote this degradation. As a result, cross-cultivation of G. lucidum and Aspergillus niger showed a weight loss of 2.49% for the PET film. For the PS film, Aspergillus nidulans showed a weight loss of 4.06%. Cross-cultivation of A. nidulans and C. micaceus, which showed a weight loss of 2.95%, was noted as an alternative for PS biodegradation, but is harmful to humans. These bio-degradation effects of edible mushroom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s for eco-friendly plastic degra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