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ool in Reading Debate

독서토론의 수행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정종기 (문산중학교, 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ncepts of reading ability and debate ability, and the components of both abilities and to make the performance assessment's standards to apply them to the classroom for reading debate in the school libraries. For doing this, I studied the necessity of reading debate, assessment, and the components of reading/debate abilities. The components of the reading and debate abilities were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researche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s standards for the reading debate were proposed in the viewpoint of the teacher librarians and classroom teachers in the school libraries in order that the teacher librarians and teachers could apply them to the reading debate classes and assess the performance achievement of the students.

본 연구는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를 명확히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도구와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학교도서관의 독서토론수업에서 학습자에 대한 객관적인 수행평가를 실행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학교도서관 독서토론수업의 관점에서 독서토론과 평가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기존의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의 개념과 그 구성요소들을 고찰하였다.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학교도서관의 독서토론수업 수행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를 기초로 하여 사서교사와 교과교사 즉, 교육평가자 관점의 평가도구와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완 등. 토론의 방법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 두산동아, 2000)
  3. 권낙원. 토의 수업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현대교육출판, 1996)
  4. 김경일. 독서교육론 (서울 : 일조각, 1999)
  5. 김승환. '독서토론의 활성화를 위한 독서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제35권 3호, 2004년 9월
  6. 김영희. 책읽기를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는 부모의 지혜 (서울 : 아침나라, 2005)
  7. 김용준 등 감수. 한국브리태니커 세계대백과사전 (서울 : 한국브리태니커회사, 2002)
  8. 김지도. 국민학교에서의 독서지도 (서울 : 대한교육연합회, 1982)
  9. 교육인적자원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교육정보화백서 (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10. 노명완. '이해, 학습, 기억 : 독서과정에 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 분석.' 한국교육, 14권, 2호(1997). 한국교육개발원
  11. 대구광역시교육청. 토론으로 다지는 책읽기 (대구 : 대구광역시교육청, 2001)
  12. 박봉배. 국어과 교육각론 (서울 : 한샘출판사 1988)
  13. 변우열. '지식정보화사회에 있어서 독서교육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34권, 1호 (2003)
  14. 서진원.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교육대학원, 2003
  15. 손정표. 독서지도방법론 (서울 : 학문사, 1993)
  16. 이칭찬, 신민희. 신교육방법 교육공학 (서울 : 동문사, 2000)
  17. 임정훈. 웹기반 문제해결학습 온라인 토론 소집단 협동학습전략,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교육학과, 1999
  18. 정문성. '웹기반 사회과 토의수업의 의의.' 사회과교육, 제34호 (2002)
  19. 진권장 등. 대화와 토의 : 우리 교실에서는 불가능한가? -대화토의 능력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연구보고서,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1990
  20. 책읽는 아이들 연구회. 독서토론을 통한 문학수업 (서울 : 책읽는 아이들 연구회, 2003)
  21. 최우영. 독서능력 지도방안 연구(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22. 홍인선. '독서인증제의 비판적 고찰.' 독서 연구, 제12호 (서울 : 한국독서학회, 2004)
  23. Colbert, K. R. & Biggers, T., 'Why should we support debate?' Journal of the American Forensics Association, Vol.21(1986)
  24. Dilton.J.T. 토론학습의 이론과 실제, 김정효 역(서울 : 교육과학사 1998)
  25. Bloom, B.S., Engelhart, M. D., Furst, E. J. Hill, W. H., Krathwohl, D. R.,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1: Cognitive domain(New York: D. Mckay. 1956)
  26. Ennis, R. H., 'A logical basis for measuring critical thinking skills.' Educational Leadership. Vol.43 (1985)
  27. Freeley. A. J. Argumentation and Debate(9th ed.), (Belment. C.A : Wadworth, 1996)
  28. Freeley. T. Jr. 'Critical Thinking: Toward a definition. Paradigm and Research Agenda.'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Vol.4. No.1 (August. 1976)
  29. Moore, B. N. & Parker, R. R, Critical Thinking(2nd ed), (Mountain View. CA : Mayfield Publishing Co. 1989)
  30. Newmann, F. M. ' Promoting higher order thinking in social studies : Overview of a study of 16 high school department.'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Fall. Vol. 19, No.4(1991)
  31. Paul, R. W., 'Critical Thinking: Fundamental to Education for a Free Society.' Educational Leadership. Vol.42. No.1(1984)
  32. Robinson, F. P. 저,김영재 역, 독서방법론 (서울 : 배영사, 1988)
  33. Russel, D. H., Children's Thinking(Boston : Ginn and Co, 1956)
  34. Waston, G. & Glaser, E. Critical Thinking Appraisal Manual for Forms A and B. (New York : Harcourt Brace Jovanovich, 1980)
  35. Wood, R. V. & Goodnight, L. Strategic Debate(5th ed.)(Lincolnwood. IL : National Textbook.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