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원칙 변화에 따른 신생아 Bochdalek 탈장의 예후

Prognosis of Bochdalek Hernia in Neonate after Change in Management Principle

  • 서진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 ;
  • 남소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 ;
  • 김대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 ;
  • 김성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 ;
  • 김애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신생아과) ;
  • 김기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신생아과) ;
  • 피수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신생아과) ;
  • 김인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
  • Seo, Jin-Young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 Nam, So-Hyun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 Kim, Dae-Yeon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 Kim, Seong-Chul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 Kim, Ai-Rhan E. (Division of Neonat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 Kim, Ki-Soo (Division of Neonat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 Pi, Soo-Young (Division of Neonat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 Kim, In-Koo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투고 : 2006.03.21
  • 심사 : 2006.06.13
  • 발행 : 2006.12.31

초록

1989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에서 치료받은 신생아 Bochdalek 탈장 6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1989년 3월부터 1999년 말까지 조기수술, 과호흡, 수술시 흉관의 삽입을 시행한 I기(33예)와, 2000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지연 수술, 최소한의 호흡 요법과 고빈도 환기 요법, 일산화질소 흡입 요법을 병행하고, 수술시 흉관의 삽입을 제한한 II기(34예)로 나누어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I기의 경우 33예 중 20예가 생존하여 60.6 %, II기의 경우 34예 중 25예가 생존하여 73.5 %의 신생아기 생존율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하지만 II기에서 생존율이 향상된 경향을 보임으로, II기에 불필요한 수술은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나쁜 예후 인자를 갖는 예에서 치료 원칙의 변화가 의미 있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연수술, 호흡요법, 일산화질소 흡입요법 각각의 영향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없었던 것은 이번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수술 전에 충분하게 제반 상태가 안정된 후에 시행하는 지연 수술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며, 수술시 흉관 삽입은 피하는 것이 좋겠다. 수술 전후의 고빈도 환기 요법과 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considerable controversies in the management of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By 1997, early operation, routine chest tube on the ipsilateral side and maintainingrespiratory alkalosis by hyperventilation were our principles (period I). With a transition period from 1998 to 1999, delayed operation with sufficient resuscitation, without routine chest tube, and permissive hypercapnia were adopted as our practice. High frequency oscillatory ventilation (HFOV) and nitric oxide (NO) were applied, if necessary, since year 2000(period II). Sixty-seven cases of neonatal Bochdalek hernia from 1989 to 2005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re were 33 and 34 cases in period I and II, respectively. The neonatal survival rates were 60.6 % and 73.5 %,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period I, prematurity, low birth weight, prenatal diagnosis, inborn, and associated anomalies were considered as the significant poor prognostic factors, all of which were converted to nonsignificant in period II. In summary, improved survival was not observed in later period. The factor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for poor prognosis were converted to be nonsignificant after change of the management principle. Therefore, we recommend delayed operation after sufficient period of stabilization and the avoidance of the routine insertion of chest tube. The validity of NO and HFOV needs further investig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