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odel for Records Management of Local Assembly to Embody Local Governance

로컬 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지방의회 기록관리 모형에 관한 연구

  • 최연주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Published : 2006.10.30

Abstract

For cope with the participating government promoted local decentralization of the present time, local governments are coming to aim at the realization of local governance. Local governance refers to a way of solving public problems of urban area through partnership which is a collaboration and participation based on 'relationship' among diverse interested parties such as executive authority of policy, private sectors. First of all, it is most important task to make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of all people and networks by themselves through sharing information. With like this kind of a background, local assembly is an momentos body of local governance because it is a decision making organization at the same time as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local residents, and it has a relationship of 'check and balance' with chiefs of local governments as an organization monitoring and supervising the administration of an executive authority. Not the less, information about local assembly does not open to the public or exist. Even some informations open to the public, they are not enough to be settled distrust and low-valuation by civil society. Now Local assembly is face to a point that improve over all of record management. This study is based like this critical mind, then, it examines throughly local assembly's realities by suggestion with reforming plan of record management. Record can embody true values when record management practices indefatigably through prudential system from production until preserv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management of transaction unit without the omission of record. Also this study is satisfy the condition of Korean record management system with proposals of record management policy and establishment of record center. At the conclusion of study, it puts effects into shape that local assembly secure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and organize local governance by record management.

오늘날 지방자치단체는 중앙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지방분권에 대응하는 수단으로 로컬 거버넌스를 지향하고 있다. 로컬 거버넌스는 공사간의 구분없이 협력과 파트너십을 통해 문제의 해결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정보의 공유를 통한 각 행위주체 및 네트워크 형성 운영 자체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중요한 과제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의 공유를 위해서는 공유될 정보, 즉 기록이 수집, 관리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전제되어야만 한다. 이런 배경 속에서 지방의회는 주민대표기관이자 전통적인 주민참여 집행기관(단체장) 견제기구로서 로컬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중요한 행위주체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의회에 대한 정보는 부존재하거나 비공개되고 있으며, 공개되는 정보 역시 그 양이나 질에 있어서 시민사회로부터 받는 불신과 저평가를 해소하기에 부족한 현실에 있다. 지방의회는 기록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의식변화와 함께 기록관리의 근본적인 개선이 시급한 시점에 이른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오늘날 지방의회의 기록관리 실태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기록은 생산되는 시점부터 관리까지의 모든 프로세스가 합리적인 구조 속에서 일관적으로 수행될 때 진정한 가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지방의회에서 반드시 생산 관리되어야 하는 기록을 기록물분류기준표의 단위업무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처리과-기록관-전문관리기관이라는 세 단계로 구분된 우리의 기록관리체계에 부응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록관리정책 및 기록관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방의회가 기록관리에 의해 실현하는 투명성과 책임성의 확보와 더불어, 기록관리 자체로 로컬 거버넌스 실현의 유력한 수단이 되는 여러 효과에 대해 정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