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quential Analysis of Adjacent Ground Behaviors Caused by Deep Excavations

굴착 공정별 주변지반 거동 분석

  • Seo Min-Woo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Seok Jeong-Woo (Research Engineer Institute of Technology, SAMSUNG Corporation) ;
  • Yang Ku-Seung (Daebo Shipping Co Ltd) ;
  • Kim Myoung-Mo (Dept. of Civil, Urban, and Geosystem Engrg., Seoul National Univ.)
  • 서민우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석정우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기술연구소) ;
  • 양구승 (대보해운(주)) ;
  • 김명모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6.02.01

Abstract

Long-term field observations were performed in three excavation sit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placement behavior of adjacent ground during overall excavation procedure, where the depths of deep excavations were 15 m$\∼$29 m. In this study, ground settlements and lateral displacements of braced wall measured during installation of retaining wall and removal of bracing were specially focused to evaluate the behavior quantitatively according to three-stage-divided procedure, i.e. pre-excavation, main excavation, and removal of bracing. Through field measurements on three excavation sites, lateral displacements induced during removal of bracing are approximate to 40$\%$ of the amount found during main excavation stage and additional adjacent ground deformation during post-excavation procedure ranges from 18$\%$ to 33$\%$ of that found during main excavation stage, based on the settlement volume. In conclusion, it was quantitatively identified in this study that the deformations of adjacent ground during pre- and post-excavation stage were not negligible.

굴착 공정에 따른 주변지반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굴착 깊이가 15m$\∼$29m인 3개 굴착현장에서 장기간에 걸쳐 계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본 굴착뿐만 아니라 토류벽 설치 및 지보 해체 작업이 굴착 주변지반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전체 굴착 공정을 굴토 전 준비 공정, 본 굴착 공정, 지보 해체의 세 공정으로 구분하여 계측을 수행하였다. 3개 굴착현장에서 이루어진 계측결과에 의하면, 지보 해체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발생한 벽체 수평변위는 본 굴착단계에서 발생한 변위의 약 40$\%$ 내외였으며, 지표침하의 경우에는 본 굴착 시 발생한 침하체적의 $18\%\∼33\%$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현장계측 결과를 통하여, 굴착 전 및 지보 해체 공정 중에도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지반 변위가 발생할 수 있음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욱, 김주봉 (1999), '깊은 굴착에서 근접시공에 따른 구조물 피해사례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봄학술발표회, 지반공학회, pp.113-120
  2. 김학문 (2003), '도심지에서 지반굴착에 따른 구조물의 손상 예측', 2003 지반굴착/정보화 시공 위원회학술발표회, October 17, 서울, 지반공학회, pp.3-35
  3. 신은철, 김광일, 최병길 (2000), '흙막이공의 지반변형이 주변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목학회논문집, 제20권, 제6-C호, pp.525-534
  4. 양구승, 김명모 (1997), '도심지 깊은 굴착으로 발생하는 인접 지반지표침하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13권, 제2호, pp.101-124
  5. 유충식, 최병석 (2003), '지반 굴착에 따른 매설관 손상 - 사례 분석', 2003 지반굴착/정보화시공위원회 학술발표회, October 17, 서울, 지반공학회, pp.66-71
  6. 임희대, 박수용, 고근식 (2001), '도심지 지반굴착으로 인한 주변 지반의 침하예측', 한국토목학회논문집, 제21권, 제1-C호, pp.39-47
  7. Clough, G. W. and O'Rourke, T. D. (1990), 'Construction induced movements of in situ walls, design and performance of earth retaining structures',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25, ASCE, pp.439-470
  8. Goldberg, D. T., Jaworski, W. E., and Gordon, M. D. (1976), Lateral support systems and underpinning, Report, FHWA-RD-75-128(1),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