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소진(消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rnout of the Workers in Elderly Living Facilities

  • 이인수 (한서대학교 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발행 : 2006.02.01

초록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group differences and determining factors of burnout of the workers in elderly living facilities. In this study, 131 male and female workers composed of social workers, health practitioners, and other management workers were selected among 23 retirement and nursing facilities in Korea between 2003 and 2005. They were asked about their socioeconomic backgrou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s on burnout in the working places. As for main dimensions of the burnout, there were three elements such as emotional weariness, diminishing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ed behaviors. Particularly in this study, the depersonalized behaviors were defined as aggressive or rude verbal and behavioral outbursts from ang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Most workers have medium level of perception on their commitment and burnout, but there. are some risk factors; newly married young workers were less satisfied or fairly rewarded with their job and as a result, they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emotional weariness but lower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s. In addition, they occasionality practiced aggressive or rude behaviors such as yelling, threatening, and physically harassing As for the influence of determining variables, long-time workers of long established facilities were more satisfied and less burnout. In addition, there are some impacts of job category; health practitioners were more burnout than social workers. In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guiding and settl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newly started young married workers, particularly at early stage of their career. Second, future aspects of facility visions should be guided for the workers, so that they are relieved from stressful routines without any future plan. Third, medical workers such as physical therapists and nurses should be further monitored for main reasons of increasing their str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현주(2002). 고령자의 사회적 지지도 선호도의 구조 및 사회인구학적 요인과의 관련성. 한국노인복지학회지, 15, 121-146
  2. 김경덕(2000). 양로시설 입소노인의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지, 10, 247-269
  3. 김기태.박봉길(2000).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지지망. 한국노년학, 20(1), 153-168
  4. 김미혜.정진경(2005). 노인복지지관 종사자의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효과 성인식 및 개선과제에 대한 의견 조사. 노인복지연구, 23, 43-164
  5. 김승혜(1992). 가정노인과 시설노인의 인식기능 및 우울증상에 관한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37
  6. 김태현(2000). 노년학. 교문사
  7. 김현태(1984). 불우노인의 발생원인과 대책. 서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8. 박봉길(2000). 노인학대 인식도 분석을 통한 사회사업 원조전략.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박현숙.배영주.정선영(2003). 정신간호사의 분노표현양식과 소진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2(3), 236-244
  10. 배창진(2001). 노인복지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한국노인복지학회지), 13, 173-192
  11. 법제처(2005).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실 검색. http://www.moleg.or.kr/
  12. 보건복지부(2001). 노인보건복지 국고보조사업 안내, 69-88
  13. 보건복지부(2002). 노인보건복지 국고보조사업 안내, 101-122
  14. 보건복지부(2004). 노인보건복지 국고보조사업 안내
  15. 보건복지부(2005). 노인보건복지사업 안내.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실 검색. http://www.mohw.go.kr/
  16. 서울사이버대학(2001). 사회복지 인터넷 강의록 contents. www.iscu.ac.kr
  17. 송미순(1991). 노인의 생활기능상태 예측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신미화(1996). 노인의 고독감과 사회적지지.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신효식(1993). 노부모-성인자녀간의 결속도, 자아존중감, 심리적 손상간의 인과모형 탐색.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0-53
  20. 신효식.서병숙(1992). 노부모와 성인자녀간의 결속도가 노부모의 심리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2(2), 99-108
  21. 안소윤.김원중.허영배(2002). 물리치료사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 및 직장 애착. 대한물리치료학회, 14(4), 233-244
  22. 오진주.신은영(1998). 노인의 성적욕구에 대한 시설종사자들의 태도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노년학, 18(2), 97-109
  23. 윤혜미(1993). 소진: 그 다면적 이해와 대응방안. 한국사회복지학, 22, 118-141
  24. 이기순(1994). 양로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회복지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명신(2004).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Burnout Process) 모델 - 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효능성에 의한 소진 경로분석. 한국사회복지학, 56(4), 5-34
  26. 이영세.양승규.이정숙(2000). 양로시설 입소노인의 행동과 심리특성. 노인복지연구, 219-238
  27. 이혜련.김봉환(2004). 직업상담원의 소진현상과 작업환경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16(4), 597-611
  28. 임국환 외(2003). 의료기관 행정직 종사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특성과 직장애착의 관계. 한국보건사회학회지, 14, 127-146
  29. 최윤미.양난미(2002). 상담자 소진 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14(3), 591-598
  30. 최혜영(1995). 사회사업가의 Burnou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복지관, 병원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1.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2004). http://www.elder.or.kr/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검색결과를 발췌
  32. 한국노인복지학회(2004). http://www.koreawa.or.kr/ 인터넷 홈페이지 학술자료검색결과를 발췌
  33.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5). 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34.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8).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35.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4). 사회복지생활시설의 운영체계 개선방안
  36. 한국주택협회(1993). 실버산업관련 노인주택에 관한 조사 연구
  37. 한현미(1993).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Burnout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허갑수(2003). 의료기관 행정직원의 직무만족과 직장애착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인적자원연구, 7, 31-62
  39. 현외성 외(2000). 한국노인복지학 강론. 예풍출판사
  40. 현외성 외(2002). 한국노인복지학 강론. 서울: 예풍출판사
  41. 홍정실(1995). 재가 및 시설노인의 생활조건과 고독감과의 관계.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American Association of Home and Services For the Aging(2002). Guidance for Choosing the Member Facility. http://www.aahsa.org/public/links.htm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실)
  43. Atchley, R.(1990). Social forces in later life. Wadsworth Publishing Co., CA, U.S.A
  44. Carrol, J. F.(1981). Staff burnout as a form of ecological dysfuncti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1981(2), 99-113
  45. Carter, A. E. & McGoldrick, M.(1987). The family life cycle: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New York: Gardener Press, Inc
  46. Davis, S. & Wehmeyer, M.(1991). Ten steps to independence: promoting self-determination in the home self-determination [Brochure]. Arlington, TX: Author
  47. Dowrick, S.(1991). Intimacy and solitude: balancing closeness and independence. New York: Norton
  48. Edelwich, A. & Brodsky, D.(1983). Burnout; 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 New York: Pergamon Press
  49. Freundenberger, H. L.(1977). Burnout: The organizational menace. Training and Developmental Journal, 1977(31), 26-37
  50. Hennessy, C. H.(1993). Modeling case management decision-making in a consolidated long-term care program. The Gerontologist, 33(3), 333-341 https://doi.org/10.1093/geront/33.3.333
  51. Krammer, M.(1974). Really Shock: Why nurses leave nursing? St. Louis Mosky
  52. Levesque, L.(1993). Why alert residents are more or less willing to cohabit with cognitively impaired peers: an exploratory model. The Gerontologist, 33 (4), 514-522 https://doi.org/10.1093/geront/33.4.514
  53. Maslach, C.(1982). Understanding burnout definitional issues in analyzing a complex phenomenon. In W. S. Paine (eds), Job stress and burnout, Sage Publication, 1982, 29-40
  54. Pillemer, K. & Moore, D.(1989). Abuse of patients in nursing homes: findings from a survey of staff. The Gerontologist, 29(3), 314-320 https://doi.org/10.1093/geront/29.3.314
  55. Pynoos, J. & Regnier, V.(2000). Housing the aged, London; Elsevier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