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Road Safety Features by Spatial Scope of Safety Improvement Project

도로안전개선사업의 공간적 범위에 따른 도로안전시설물의 효과도 비교

  • 박규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태희 (㈜포스코건설 SOC사업팀) ;
  • 김성욱 (한양대학교 응용수학전공)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road safety features by spatial scope Spot & Section-based safety Improvement project.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from black-spot study of Jeonbuk and "Traffic Safety Improvement Project on National Highway 17". Evaluation model of effectiveness was developed by using Empirical Bayes (EB) method. And Relative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Odds Ratio. The result indicates that Section-based safety improvement was $7.09{\sim}77.27%$ more effective than the spot-based. It means that section-based improvement projects should be expanded whil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tion in spot based improvement.

본 연구는 도로안전개선사업의 공간적범위 (지점단위/구간단위)에 따른 도로안전시설물의 효과도 비교를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전라북도 지역 국도를 대상으로 사고잦은지점개선사업과 국도17호선 구간안전개선사업 시행도로에 대한 사전 사후 사고자료와 도로 교통특성자료를 이용하였다 경험적베이즈기법(Empirical Bayes ; EB)을 이용한 시설물별 효과도 산정모형을 구축하고, 비교를 위해서는 승산비 (Odds Ratio)를 이용하여 상대효과도 산정기법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구간사업에서 설치한 안전시설물이 지점단위 개선사업보다 상대적으로 $7.09%{\sim}77.27%$ 안전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의 공간적 범위에 상관없이 구간특성을 가지는 시설물인 중앙분리대와 가드레일은 상대효과도가 크지 않게 나타났으나, 대표적인 지점설치 시설물인 갈매기표지나 미끄럼방지포장 등은 구간사업에서 그 상대효과도가 매우 크게 나타나 향후 시설물 설치시 구간측면에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았을 때 향후 안전시설물 설치와 같은 도로안전개선사업은 구간단위 사업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99), '국도17호선 전주-남원간 국도 의 교통안전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한국교통 연구원, pp.88-164
  2. 한상진 등(2003), '네트워크 차원의 교통안전개선 사업을 통한 안전성 제고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pp.23-29
  3. 안전관리개선기획단(2001), '제3차 교통사고 잦은 곳 및 위험도로 개량사업 추진계획', 국무조정실
  4.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2004), '도로안전시설물의 사고감소효과도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pp.65-92
  5. 홍종선, 최현집(1999), '로그선형모형을 이용한 범 주형 자료분석', 자유아카데미, p.49
  6. Agresti, A(1996),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John Wiley & Sons Inc., pp. 22-27, pp.71-97
  7. Al-Ghamdi, A. S.(2002), 'Pedestrian-vehicle crashes and analytical techniques for stratified contingency tables' , Acc. Anal. Prev. 34, Elsvier Science Ltd., pp.205-214 https://doi.org/10.1016/S0001-4575(01)00015-X
  8. Council, F. M., Stewart, J. R.(1999), 'Safety effects of the conversion of rural two-lane to four-lane roadways based on cross-sectional models', TRR 1665, paper No. 99-0327, TRB, pp. 35-43
  9. Elvik, R.(1997), 'Evaluations of road accident blackspot treatment: A case of the iron law of evaluation studies?', Acc. Anal. Prev. Vo.29, No.2, Elsvier Science Ltd., pp.191-199 https://doi.org/10.1016/S0001-4575(96)00070-X
  10. Hauer, E., B. Persaud(1983), 'Common Bias in Before-After Accident Comparisons and Its Elimination', TRR 905, TRB, pp.164-174
  11. FHWA(2002), 'Safety Effectiveness of Intersection Left-and Right-Turn Lanes', FHWA-RD-02- 089, U. S. DOT, pp.64-97
  12. Davis, G.(2000), 'Accident reduction factors and casual inference in traffic safety: a review', Acc. Anal. Prev. 32, Elsvier Science Ltd., pp.95-109 https://doi.org/10.1016/S0001-4575(99)00050-0
  13. Hauer, E.(1997),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in Road Safety; Estimating the effect of highway and traffic engineering measures on road safety', Pergamon, Elsevier Science Ltd., pp.175-218
  14. Persaud, B. N.(2001), 'Statistical methods in highway safety analysis', NCHRP Synthesis 29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5. RoSPA(2002), 'Road Safety Engineering Manual', RoSPA, England
  16. SAS Institute Inc.(1999), 'SAS/STAT User's Guide', Version 8, pp.1363-1464
  17. Shen, J., A. Gan(2003), 'Developemnt of Crash Reduction Factors; Method, Problem and Research Need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40, Tr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pp.50-56 https://doi.org/10.3141/184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