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위변화지수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evels of Water Pollutants in Han River (수질오염도의 공간적 분포 변화 분석 : 한강 유역을 대상으로)

  • Kim, Kwang-Soo;Kwon, Oh-Sa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8 no.1
    • /
    • pp.105-138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egree of water pollutants in Han River using data obtained by the water pollution observation stations. This study estimates a non -parametric kernel density function for each water pollutants, and test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estimated distribution functions. Next, Generalized Entropy inequality indices are evaluated and this research tests difference of inequality indices between two years using bootstrapping method. Lastly in a dynamic of view, it is analyz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ranking of water pollution level.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inequality in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pollution tends to be stable or decreasing for last 15 years in a great part of water pollutants, and ranking of water pollution level hardly changes in Han River.

  • PDF

Investigation of Urban Sprawl and Interregional Interaction by Demographic and Commuting Data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 (인구 및 통근자 자료 분석을 통한 도시확산현상 및 지역 간 상호작용 검증 - 서울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

  • Park, Jane;Choi, Nak-Hoon;Chang, 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s.36
    • /
    • pp.77-88
    • /
    • 2006
  • Overpopulation has been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which consists of the City of Seoul, Incheon, and the whole of Gyeonggi Province. People have been still moving into SMA, especially being concentrated into the fringe of Seoul. This study examines the inner city decline phenomenon of SMA which can be easily found in large cities over the world, based on the demographic data of these area. In addition, this study monitors the imbalance in growing of SMA by analyzing RMI (Rank Mobility Index), and the inverse relation between the self sufficiency of the adjacent area and the commuting rate to Seoul by analyzing commuting data. Even though the total population has been unchanged, the internal change of population was substantial. The growth of Seoul Metro region was placed near the city of Seoul, especially commuter data reassured the population concentrations. The results will be useful in urban planning and growth management.

  • PDF

Applicability of frequency based flood risk map for flood risk assessment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빈도별 홍수위험지도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Yujin Kang;Won-joon Wang;Seongcheol Shin;Daegun Han;Soojun Kim;Hung S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5-105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매년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구조적 대책뿐만 아니라 치수사업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비구조적 대책들이 대두되고 있다. 비구조적 대책으로는 재해예방사업 등에서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다차원법, 홍수취약성지수 등과 같은 정량적, 정성적 홍수위험도 평가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기존 시군구별 홍수위험도 평가는 빈도별 홍수위험지도의 침수면적을 반영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빈도별(50, 80, 100 및 200년) 설계홍수량에 따른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고 IBA(Indicator Based Assessment) 방법을 활용한 홍수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홍수위험지수는 4가지 항목(Hazard, Exposure, Vulnerability 및 Capacity)과 8개의 세부지표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송파구와 성동구는 100년 빈도, 용산구와 강남구는 80년 빈도와 100년 빈도에서 홍수위험지수의 순위 변동이 관측되었다. 순위 변동이 발생한 주요 원인으로는 홍수위험도 평가에 반영된 Exposure 및 Vulnerability 항목에 포함된 세부지표별 지수가 시군구 내 빈도별 침수면적이 변화함에 따라 증가 혹은 감소했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를 활용하면 빈도별 침수면적 변화에 따른 시군구별 홍수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예방책 또한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간분석을 통해 도출된 통계지도를 활용하여 홍수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건물 및 인구 밀집지역을 파악하고, 해당 지역을 대상으로 치수사업을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patial prioritiza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using uncertainty analysis of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의 불확실성 분석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지역별 우선순위 결정)

  • Song, Jae Yeol;Chung, Eun-S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2
    • /
    • pp.121-128
    • /
    • 2017
  • In this study, robustness index and uncertainty analysis were proposed to quantify the risk inherent in the proces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The water supply vulnerability for six metropolitan cities (Busan, Daegu, Incheon, Gwangju, Daejeon, and Ulsan), except for Seoul, were prioritized using TOPSIS, a kind of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The robustness index was us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rank reversal and the uncertainty analysis was introduced to derive the minimum changed weights of the criteria that determine the rank reversal between any paired cities. As a result, Incheon and Daegu were found to be very vulnerable and Daegu and Busan were derived to be very sensitive. Although Daegu was relatively vulnerable against the other cities, it can be largely improved by developing and performing various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because it is more sensitiv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assessment for establishing and plann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

Assessment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healthiness and the water use vulnerability in Yeongsan river basin (영산강 유역의 농업수자원 건전성 및 농업용수 취약성 평가)

  • Kim, Sehoon;Lee, Jiwan;Shin, Hyungjin;Kim, Won-Ji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32
    • /
    • 2022
  • 본 연구는 농경지가 주로 분포되어있는 영산강 유역(3,371.4 km2)을 대상으로 농업용수 건전성 및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농업용수 건전성은 관개 기간에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유역 환경 요소(하천, 토지이용, 수문, 수질, 수생태, 서식지)로 정의하였으며, 취약성은 용수공급에 영향을 주는 인위적인 변화 요소(기후변화, 불투수층 변화, 농업용수 수요량 변화, 토지피복 변화)로 구분하였다. 각 요소의 sub-index는 1개의 지수로 정규화하여 평가하였으며 Percentile rank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영산강 하류의 나주시(5004) 유역의 건전성 및 취약성 지수가 각각 0.33, 0.92로 농업용수 공급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회복력 및 유지·조치 우선순위 분석결과 또한 농업용 수리시설(저수지, 양수장, 취입보, 집수암거, 관정)을 이용한 농업용수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농업용수 건전성 및 취약성 지수는 장기간에 걸친 유역 변화분석이 가능하고, 농업용수 공급 상황을 예측함으로써 향후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시설물 설치계획 수립에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Index of South and North Korea Using TOPSIS (TOPSIS를 이용한 남·북한 지역별 기후변화에 대한 수자원 취약성 지수 비교)

  • Song, Jae Yeol;Chung, Eun-Sung;Jeong, S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3-643
    • /
    • 2015
  • 최근 북한의 수자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수자원 취약성과 지속가능한 개발과 관련된 지수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지수를 이용하여 현재 또는 미래의 수자원 취약성을 판단하고 대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상청, 통계청,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에서 북한의 지역별 자료의 확보 가능한 자료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들을 선정하여 남한과 북한의 26개 광역자치단체에 대하여 수자원 취약성 순위를 도출하였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표들은 각각 홍수피해와 물부족을 반영하는 지표인 일최대강수량, 일강수량이 80mm 이상인 날의 수, 연최대 연속강우일수, 3일주기 최대 강수량, 6-9월 강수량, 12-2월 증발산량, 3-5월 증발산량, 12-2월 강수량, 3-5월 강수량, 연속적인 무강우일 수의 최대값, 총인구, 인구밀도를 선택하였으며, 변수들의 가중치 결정은 객관적 가중치 산정 방법인 Shannon의 entropy 기법과 주관적 가중치인 환경부(2012)에서 전문가를 대상으로 유도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치수와 이수분야에 대한 취약성을 각각 평가하였다. 수자원 취약성의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TOPSIS (Technique for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기법을 적용하여 남 북한 지역별 수자원 취약성을 지수화하고 취약성 순위를 도출하였다. 산정된 수자원 취약성 지수가 낮을수록 취약함의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연구결과 남 북한을 통틀어서 서울이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치수 분야에서는 북한의 양강도가 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수분야에서는 북한의 양강도와 남한의 제주도가 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 북한의 지역별 취약성 순위를 통해 우리나라와 북한 수자원의 현황을 제시하며, 미래의 국가 수자원 계획 수립 및 대책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Kor-T", a Modified Tapered h-index, by Applying the Rank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Citations of Journals in Evaluating Korean Journals (학술지의 피인용횟수 순위를 적용한 tapered h-지수의 변형지표 "Kor-hT"에 관한 연구)

  • Ko, Young Man;Cho, Soo-Ryun;Park, Ji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4
    • /
    • pp.111-131
    • /
    • 2013
  • This study describes the meaning of and the formula for Kor-$h_T$, which is a modified index built on the tapered h-index by applying 'the rank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citations of journals'. This study evaluated the de-duplication rate of index values of Kor-$h_T$ and analyzed the chang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x values and evaluation elements using the Korea Citation Index data from 2008 to 2010. Kor-$h_T$ is compared with h-index, tapered h-index, and IF. As a result, Kor-$h_T$ appeared to be superior to other indexes on de-duplication rate. It is also shown that there is a ver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valuation elements, the number of citations and the number of articles of journals, and the index values of Kor-$h_T$.

Analysis of Snow Damage Vulnerability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대설 취약성 분석)

  • Ha, Joon Hyeok;Park, Hee Seong;Chung, Gun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0-190
    • /
    • 2020
  • 한국에서 겨울철에 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대설이다. 마우나리조트 사고나 동해안 폭설 피해 등 직·간접적인 대설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대설피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3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대설피해에 대한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설 취약성 분석을 위해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였고, PSR(Pressure-State-Response) 구조를 적용하여 압력, 상태, 대응지수로 대설피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분류하였으며 엔트로피 이론을 이용하여 각 인자의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각 지역의 대설피해 취약성 순위를 도출해낼 수 있었고 도출해낸 취약성 순위를 바탕으로 향후 대설피해에 대한 대응마련을 실시할 경우 우선순위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in Seoul, Korea (한국 도심지에서의 홍수취약성 분석)

  • Hwang, Nanhee;Park, Heeseong;Chung, Gunhu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10
    • /
    • pp.729-742
    • /
    • 2019
  •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has been increas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also Korea is no exception. The biggest part of natural damage in South Korea was caused by the flooding during the rainy season in every summer. The existing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cannot explain the reality because of the repeated changes in topograph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a new flood vulnerability index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terrain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 The priority of the investment for the flood prevention and mitigation has to be determined using the new flood vulnerability index. Total 25 urban districts in Seoul were selected as the study area. Flood vulnerability factors were developed using Pressure-State-Response (PSR) structures. The Pressure Index (PI) includes nine factors such as population density and number of vehicles, and so on. Four factors such as damage of public facilities, etc. for the Status Index (SI) were selected. Finally, seven factors for Response Index (RI) were selected such as the number of evacuation facilities and financial independence, etc. The weights of factors were calculated using AHP method and Fuzzy AHP to implement the uncertaintie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s a result, PI and RI were changed, but the ranks in PI and RI were not be changed significantly. However, SI were changed significanlty in terms of the weight method. Flood vulnerability index using Fuzzy AHP shows less vulnerability index in Southern part of Han river. This would be the reason that cost of flood mitigation, number of government workers and Financial self-reliance are high.

A Hashing-Based Algorithm for Order-Preserving Multiple Pattern Matching (순위다중패턴매칭을 위한 해싱기반 알고리즘)

  • Kang, Munseong;Cho, Sukhyeun;Sim, Jeong Seop
    • Journal of KIISE
    • /
    • v.43 no.5
    • /
    • pp.509-515
    • /
    • 2016
  • Given a text T and a pattern P, the order-preserving pattern matching problem is to find all substrings in T which have the same relative orders as P. The order-preserving pattern matching problem has been studied in terms of finding some patterns affected by relative orders, not by their absolute values. Given a text T and a pattern set $\mathbb{P}$, the order-preserving multiple pattern matching problem is to find all substrings in T which have the same relative orders as any pattern in $\mathbb{P}$. In this paper, we present a hashing-based algorithm for the order-preserving multiple pattern matching prob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