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entoring Network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of Teachers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멘토링 연결망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Mentoring as 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 is being reconceptualized because of the rapidly shifting work environment which has been recently focused on the necessity of knowledge management. That is, new mentoring network theory as a reconceptualization of mentoring is structured by researchers who have related social network theory and mentoring and they have discovered that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is built by the relationships of multiple selves. In their paper, they have asserted that an individual's developmental stage is an important antecedent to the nature of mentoring and developmental networks that are possible. Further, they are suggesting that mentoring developmental network is a key tool for learning, development, and successful performance outcomes in challenging assignments.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next empirical research plan that will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stage of teachers as an antecedent of mentoring network. An introduction and background to the research will be explained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next study.

인재개발 프로그램으로 주목받아오고 있는 멘토링은 최근 조직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지식경영이 강조되면서 재개념화되고 있다. 즉, 개인과 조직의 발달이 다양한 자아들과의 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진 다고 생각하는 사회연결망 이론과 멘토링에 관련된 연구자들에 의해 '멘토링 연결망'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형성된 것이다. 이들의 이론 연구에 의하면 개인의 발달단계는 '멘토링 네트워크'의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발달 관점의 한 영역인 교사발달 단계를 '멘토링 네트워크'의 선행요인으로 실제 분석해보기 위한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이론을 바탕으로 한 사전 연구로서 차후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 연구의 개념적 틀이나 연구모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