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ttitude of Crisis outleting and Revitalization of tour as the Decline of Competitiveness of Local tourism in Mt. Sorak Area

설악권 지역관광경쟁력기반 저하에 따른 위기타개와 관광활성화를 위한 속성 연구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ivate tourism industry in Sorak area where faces crisis arising from environmental change. To achieve it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operational problem concerning about development of tourism in Sorak area and politic problem concerning about tourism resource in order to devis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through its effectiv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and at same time, compared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ourist and worker of tourism empirically in aspect of product, service, public marketing in order to activate regional tourism industry through effective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 Finally, this study also suggested countermeasure suitable for the above stated. As seeing above results,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mote tourism in Sorak area by developing tourism resource in vein of localization age which means local area can be center of the world in consideration of globalization age without national boundary. Conclusively, it can be said that segmentation of tourism market based on tourist's interest needs to be accomplished through connection between regional limitation and academic research with making use of advantage of abundant tourism resource in Sorak area. what is more, supplement of attention. to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can cause more positive effect.

관광 상품의 경쟁력은 훌륭한 자연경관과 유무형의 자원들이 적정한 조화를 이룰 때 관광객의 욕구 충족과 아울러 지역경제와 연계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관광산업은 지방화시대에서 중요한 지역경제 운영 및 개발 재원 마련의 핵심 사업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특히 강원도 설악권의 경우에는 뚜렷한 부존자원과 지역개발재원이 부족한 실정에서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관광자원 개발이 각 지역의 재정자립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악권 관광개발에 있어서의 제 운영상의 문제점과 정책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관광자원의 효율적인 보전과 개발 등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현지 방문 관광객과 관광업종사자간 상품, 서비스, 홍보 마케팅 측면에서의 실증조사를 한 후 이에 맞는 경쟁력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지방화, 글로벌화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 관광자원의 개발 및 상품화를 체계화하여 금강-설악이 연계되는 설악관광의 육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는 설악권에 대한 관광지역 활성화를 주제로 한 관계로 인해 연구범위를 설악권 한 지역으로 국한했기 때문에 일반화 과정에는 다소 미흡하다고 판단되며 측정 면에서도 관광객과 관광 종사자 사이의 인식차이 검증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