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eaching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of Electricity·Electronic·Communication Technical Teachers

전기·전자·통신 계열 공업교사의 교수능력과 교육요구

  • Received : 2006.10.30
  • Accepted : 2006.12.20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sent teaching competency level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lectricity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ical teachers. The population was electricity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ical teachers, 750 teacher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teaching competencies scale including 3 domains based on Performance-Based Teacher Education Modules.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scale consisted of 5-point Likert-type 30 items for them to rate the importance and also to indicate the teaching competency level. A questionnaire was mailed to the sample and 443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data cleaning.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formul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lectricity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ical teachers perceived all the thirty competencies as highly important ones. 2) They perceived that their current teaching competency level was just beyond the ordinary level but was lower than the good level. 3) The highest needs were 'determining learning level & interests of students', 'applying problem solving techniques', 'reconstructing lesson contents', 'establishing lesson objectives'. 4) They have a different level of educational needs on th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ir gender, terminal education level, year of teaching experience, practical work experience, school type(national public school/private school), and school lo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의 교수능력 수준과 교육요구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250개 전기 전자 통신 관련 학과에 근무하는 750명의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에 사용된 조사 도구는 3개 영역, 총 30개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성 인식 수준과 현재의 교수능력 수준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최종분석에 443부가 사용되었으며, 각 교수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는 보리치(Borich)의 교육요구도 계산공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은 30가지 교수능력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교수능력 가운데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를 파악하는 능력에 대하여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은 30가지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성 인식 수준보다 낮은 수준의 교수능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교수능력 중 '실습시 시범보이기'에 대한 능력수준이 가장 높으나, '모의학습법 적용'에 대한 능력수준이 가장 낮다. 셋째, 교수능력 중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의 교육요구가 높은 항목은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 파악', '문제해결법 적용', '학습내용 재구성', '성취할 수업목표 설정' 등이고, 반면에 교육요구가 가장 낮은 항목은 '컴퓨터 매체 활용'이다. 넷째,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의 교수능력에 대한 교육요구 순위는 성별, 학력, 교직경력, 산업체 근무경험, 근무지, 학교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6). 교육통계편람
  2. 김용익(1997). 공업고등학교 공업교사의 직무능력과 관련 변인.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김용익(2001). 지식기반 사회에서 중등학교 기술과 교사의 직무능력 관련변인 및 교육요구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2), 3-22
  4. 김우정(1999). 비디오 포트폴리오의 활용이 교수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5. 나승일 외(2001).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연구. 전무대학교수-학습 개발 협의회
  6. 나승일 외(2002).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능력과 교육요구. 한국전문대학교교육연구학회, 3(3), 499-514
  7. 나승일(2006). 농업교사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1-21
  8. 대한공업교육학회, 서울특별시교육청(2004). 서울특별시 공업교육 발전 방향 및 실천 방안 공청회 자료
  9. 류창열(1997). 공업.기술교육 원론. 교육과학사
  10. 박대수(2001).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수능력 평가 방법 탐색. 석사학위논문. 학국교원대학교
  11. 박종훈(2005). 중등교원 직무연수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주대학교
  12. 원효원(1997). 교사의 교수 수행평가 영역 및 요소의 분석.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3. 이명훈, 나승일(2006). 기술교사의 직무 수행에 대한 교육 요구. 한국기술교육학회, 6(2), 95-114
  14. 이무근(1993). 직업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15. 이병욱, 최동선(2006). 산업 현장과 교육 현장 연계를 통한 교원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이수경, 서창교, 변숙영(1999).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방법 연구(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장명희(2001). 중등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에 대한 인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8. 장명희, 변숙영(2001).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수행 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홍경옥(2004). 실업계 고등학교 미용과 교사의 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체제적 교수 설계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0.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Th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21. Davis, B. G. (1993). Tools for Teaching.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cations
  22. Hollenhorst, S. & Ewert, A. (1985). Importance-performance evaluation: A method of discerning successful program components(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64068)
  23. Johnson, D. M. Schumacher, L. G., & Stewart, B. R. (1990). An analysis of the agricultural mechanics laboratory management inservice needs of Missouri agricultural teacher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31(2), 35-39 https://doi.org/10.5032/jae.1990.02035
  24. Kentucky Univ., Lexington. Coll. of Education. (1975). Teaching Skills Program
  25. Krejcie, R. V. & Morgan, D. M. (1970). Determining sample size for research activiti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0, 607-610 https://doi.org/10.1177/001316447003000308
  26. Martilla, J. A. & James, J. 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27. Pucel, D. J., Sonnak, J. L., & Oboh, H. (1992). A comparison of factors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and experienced technical instructors(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43029)
  28. The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in Vocational Education. (1987). Performance-based teacher education module series
  29. Tileston, D. W. (2000). 10 Best Teaching Practices: How Brain Research, Learning Styles, and Standards Define Teaching Competencies. Corwin Pres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