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ademic Stress, Coping Method, and Stress Symptoms of High School Students

일부 고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이에 대한 대처방식 및 스트레스 증상

  • Published : 2006.12.01

Abstract

Purpose : To investigate academic stress, coping method, and stress symptoms of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 Four hundreds-forty five high school students were studied from 14th July to 21th July, 2006. All subjects were in 1st, 2nd and 3rd grade of two high school in Seoul. The academic stress, coping method and stress symptoms were evaluated by questionnaire. Results : Male students showed more academic stress than femal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sex. The 2nd grade students show the highest score of academic stress in the 3 factors(parents, teacher, and friend). Male students used more active coping methods to academic stress than femal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ping methods to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sex.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academic stress and the stress symptoms. Among the academic stress factors, parents and teacher factor influenced physiologic, psychologic, and behavioral symptom of stress symptoms. The friend factor influenced psychologic and behavioral symptom of stress symptoms.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we must provide high school students more effective coping methods to academic stress at school environment.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자 (1993). 중학생의 부적응과 생활스트레스 및 대처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32, 대전
  2. 박용식 (1996).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적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41, 광주
  3. 박용천, 김광일, 방금녀, 고복자, 김대호 (1997). 고등학생 스트레스의 횡문화적 연구 : 연변의 한족, 조선족 및 서울의 한국인 비교. 신경정신의학 36(2), 304-314
  4. 박용하 (2000).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74, 인천
  5. 서희주 (2003).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2, 대구
  6. 송금희 (1998). 중학교 학생의 겪는 스트레스와 대처 방법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31-51, 광주
  7. 오미향 (1993).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 훈련의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78, 대구
  8. 오미향, 천성문 (1994).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15, 63-95
  9. 원호택. 이민규 (1987).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6, 22-32
  10. 윤진, 최정훈 (1989). 청소년기의 정신건강 문제와 그 대처행동양식. 한국심리학회지, 2, 16-35
  11. 이경오 (2001). 중 . 고등학생의 여가활용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42. 서울
  12. 이경희 (1996).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2-106, 서울
  13. 이상영 (1993).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52. 강릉
  14. 임성옥 (2004).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마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마산
  15. 채구묵 (1997).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치유방안 : 입시위주의 학교교육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비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연구. 10. 227-252
  16. Billing. A. G.. & Moos, R. H. (1989).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 Behav Med. 4, 139-157 https://doi.org/10.1007/BF00844267
  17. Holmes. T. H.. & Rahe,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s rating scale. J. Psycho. 1, 9
  18. Omizo, M. M.. Omizo, S. A.. & Suzuki. L. A. (1988). Children and stress: An exploratory study of stressors and symptoms. Sch Couns, 267-274
  19. Pearlin, L. I.. & Schooler. C. (1978). The structure of coping. J. Health Soci Behav, 19. 2-21 https://doi.org/10.2307/2136319
  20. Rakow, S. J. (1987). Childhood stress: A creeping phenomenon. Childhood Education. 65
  21. Schuler. R. (1984). Organizational stress and coping : A model and overview. 5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