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e on the Ventral Process and the Ovipositor of a Korean Oily Bitterling, Acheilognathus koreensis (Pisces, Cyprinidae), in Relation to Spawning Season

산란시기의 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 (잉어과)의 배측융기와 산란관의 구조

  • Park, Jong-Young (Faculty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Institute for Biodiversity Research,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Ik-Soo (Faculty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Institute for Biodiversity Research,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박종영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전북대학교 부설 생물다양성연구소) ;
  • 김익수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전북대학교 부설 생물다양성연구소)
  • Received : 2006.01.02
  • Accepted : 2006.02.23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During spawning season of female in a Korean oily bitterling, Acheilognathus koreensis, the ventral region near the base of the pectoral fin becomes to be protruded outward of body and enlarged. This ventral process consists of both organs as rectum (vent) and inner ovipositor. The rectum consists of mucosa, lamina propria-submucosa, muscularis, and squamous epithelial layer (peritoneum=serosa) surrounding them. The mucosa contains numerous mucous cells meaning acid mucopolysaccharides in nature. The inner ovipositor is similar to that of the rectum, but the mucosa have no mucous cell, unlike that of the rectum. Whereas, the outer ovipositor has a straight and long tube which are not connected with the ventral process any more. The outer ovipositor wa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inner ovipositor in the ventral process. However, the outer ovipositor has no muscularis, and consists of three layers: mucosa, lamina propria-submucoa, and squamous epithelia. The outer ovipositor without the muscularis seems serves as a tube that eggs discharged from the outer ovipositor allow to send inside mussel, unlike that of the inner ovipositor performing rhythmic contractions of the layers of the muscularies for propelling to the matured oocytes to the outer ovipositor.

한국산 칼납자루의 암컷은 산란시기가 되면 배지느러미 기부 부근에 돌출되어 신장되어 나타나는 배측융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측융기는 직장(항문)부분과 내측산란관으로 구성되었다. 직장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과 이들을 둘러싸는 다층의 표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점막층에는 산성 점액다당류인 점액세포가 존재한다. 한편 내측산란관은 직장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점막층에는 점액세포가 존재하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한편 외측산란관은 배측융기와 연결되지 않아 가늘고, 긴 관의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내측산란관과 달리 근육층이 존재하지 않아 점막층, 점막하층, 다층의 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근육층을 가지는 내측산란관은 성숙란을 외측산란관으로 내보기 위해 연동운동과 관련있는 반면에 외측산란관은 근육층이 존재하지 않아 내측산란관으로부터 방출된 성숙란을 단지 이매패 속으로 전달하는 단순한 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