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llenge of the Aging Society and Familial Support for the Elderly

노인부모부양에 관한 기혼자녀세대의 인식: 초점집단토론(FGD)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 조성남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 Published : 2006.12.25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limitations of the old family supported system for the elderly being surfaced in the face of the changing life style of the people in today's industrialized, urban Korean society. The qualitativ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the focus group discussions(FGD). The FGD data numbered a total of 43 participants who were divided into 8 different groups, each consisting of 5-6 respondents sorted out by sex and age as well as by their current cohabitation with their parents or having such experience in the past. The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focusing on the values and the expectations regarding the elderly support and the family relationship. A critical reexamination of the old family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at this particular juncture is also a step forward necessary for the eventual formulation of policy measures by the state and the society to produce a new viable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도래한 고령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노부모 가족부양의 한계 및 노부모 부양에 대한 기혼자녀세대의 인식과 국가정책에의 기대를 파악한다. 자료는 기혼자녀 30대와 40대 응답자들을 나이, 성별, 부모동거 경험여부에 따라 각 5-6명씩 구성된 총 8개 집단의 초점집단토론(FGD:Focus Group Discussions)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노부모부양의 우선적인 책임은 가족에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지만 노부모 가족부양의 부담감이나 부모와 동거시의 애로사항도 제시된다. 특히 부모가 더 연로해지거나 건강이 나빠질 경우에 예상되는 동거부양에 대한 부담감이 크게 나타났다. 우리사회에서 노부모는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는 의식이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고령화에 따른 노인부양과 복지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하면 가족이 부모부양을 전담하는 것은 점차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노인부양에 대해 국가 및 지역 사회의 책임 비중 및 기대 또한 증대됨을 전망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섭, 박경숙, 이세용 (2000) '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와 중년층의 노후 부양관' <한국인구학> 23(1):55-89
  2. 김두섭, 박상태, 은기수(편) (2002) <한국의 인구 1, 2> 통계청
  3. 김상욱 (2000) '노인부양의 불일치: 태도-행위의 세대내 불일치 및 세대간 불 일치' <한국사회복지학> 42:41-82
  4. 김윤정, 이창식 (2005) '미래세대를 위한 노인부양모텔 개발에 관한 연구' <성곡논총> 성곡학술문화재단, 36:333-402
  5. 김정석, 김익기 (2000)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20(2):155-168
  6. 김태현 (2002) '고령화 사회에서의 가족과 지역사회' <고령화 사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아산사회복지재단
  7. 모선희 (2000) '효 윤리의 현황과 과제' <현대사회와 효의 실천방안> 한국 노인문제연구소, 63-84
  8. 박영란 (2000) '효관련 연구의 현황과 과제' <현대사회와 효의 실천방안> 한국노인문제연구소, 85-112
  9. 윤진, 은기수 (1995) '한국의 노령화에 대한 이해' <동서양의 노령화> 서울 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10. 윤현숙 (2000) '노인부양: 가족의 책임인가 사회의 책임인가' <가족법연구> 14
  11. 조성남 (2004) <에이지 붐 시대-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자대학 교출판부
  12. 최순남 (2002) <현대노인복지론> 법문사
  13. 최정혜 (1999) '가족주의 가치관과 효 및 부모부양의식 세대별 비교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9)
  14. 통계청 (2002) <사회 통계 조사보고서>
  15. 통계청 (2005) <장래인구추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