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Street Planting Types to the Evaluation of Sidewalk Landscape

가로식재유형이 보행경관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 Kim, Dong-Chan (Design Resea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
  • Park, Kung-M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 김동찬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 연구원) ;
  • 박경모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Recently there have been great interest in the street landscapes, and numerous studies have been investigating shaping processes of urban landscapes, legal systems for scenery management, landscape preference and evaluation techniques.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investigating how planting types influence on street landscape evaluation and how the relationships among street landscapes are. This study aims to make a guidelines which can be used for securing afforestation in urban settings and improving urban environment. In specifi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guidelines for urban street design and the base knowledge for identifying appropriate requirements for better street landscapes. We identify factors which make shape certain images of street landscape, and draw physical factors influencing on visual appropriateness through visual landscapes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landscapes according to planting types, on-the-spot survey at 14 streets in Gang-Nam district were made. The district is under executing street improving projects and shows the most satisfying planting types. To evaluate street landscapes which people experience during their walking, 100m of continuous streets are chosen. The survey sites exclude streets with irregular pattern, are adjacent to large urban parks or are used as parking spaces in part. We evaluated 9 street landscapes classified into 1-line-planting, 2-line-planting and 3-line-planting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of planting and the planting methods.

Keywords

References

  1. 강남구(2003) 도시가로포장 및 가로 시설물 개선사업
  2. 강은성(2000) 보행자 전용도로의 형태에 따른 경관 선호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인, 김종하(2000) 가로 경관정비를 위한 옥외광고물 규제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 221-228
  4. 김성호(2000) 도시가로유형별 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진(1998) 가로 경관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이신(2001) 평가지표를 통한 녹지네트워크 인자도출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희주(2005) 녹시율 개념을 이용한 도시가로 경관의 시각적 질 측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성남(2001) 도시의 가로 전반조명과 간판조명에 따른 경관 선호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배현진(1999) 가로변 건축물과 광고. 간판류를 중심으로 한 가로 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7): 85 96
  10. 서울시(2005) 서울시 수목센서스 조사연구
  11. 오구균(1997) 식재설계에서 경관식재 개념 및 기법 연구. 호남 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연구집 7: 91-96
  12. 이성룡, 정석(1994) 서울시 도시 경관 관리방안 연구 II. 서울 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13. 이시재(2003) 서면의 시각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 가로 경관 개선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충영, 최이규(1998) Window용 SPSSWIN을 위한 통계분석. 서울: 무역경영사
  15. 최정숙(1998) 주. 야간의 가로 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한선아(2001)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통합에 의한 가로 경관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황세현(2001) 보행자 시점에 따른 가로 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