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 내 천연 복합 미네랄 제제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tural Mineral Complex Supplementation on Production, Egg Quality and Blood Characteristic in Laying Hens

  • Yoo, J.S.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k Science, Dankook University) ;
  • Kim, J.D. (CJ Feed Co. Ltd.) ;
  • Cho, J.H.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k Science, Dankook University) ;
  • Chen, Y.J.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k Science, Dankook University) ;
  • Kim, H.J.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k Science, Dankook University) ;
  • Kang, D.K.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k Science, Dankook University) ;
  • Min, B.J.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k Science, Dankook University) ;
  • Kim, I.H.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k Science, Dankook University)
  • 발행 : 2006.09.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 미네랄 제제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난질 및 혈액과 난황 내 미네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72주령 Hy-line Brown 240수를 공시하였고, 6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1) Control(CON), 2) Control + 3% 키토산 + 0.50% 천연미네랄 제제 (M 0.5), 3) Control + 3% 키토산 + 0.10% 천연미네랄 제제 (M 1.0), 4) Control +3% 키토산 + 0.15% 천연미네랄 제제(m1.50)로 총 4 처리를 하여 처리당 10반복, 반복당 6수씩 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은 M1.5 처리구가 대조구, M1.0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난중은 M0.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각 강도는 처리구와 대조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난각 두께는 M1.5 처리구가 대조구 및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색은 미네랄 처리구에서 첨가 수준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augh unit은 대조구와 M1.0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 내 K의 함량은 M1.5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난황 내 Ca과 Fe 함량에 있어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혈액 내 Ca과 Fe 함량은 M1.5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산란계에서 1.5% 천연 복합 미네랄 제제의 급여는 산란율, 난각 두께를 개선시켰고, 혈액 및 난황 내 미네랄 조성을 변화시켰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tural mineral complex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 in laying hens. A total of two hundred forty laying hen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four treatments with ten replications for six weeks.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 (control, basal diet) 2) M0.5 (basal diet + 3% chitosan + 0.5% natural mineral complex), 3) M1.0 (basal diet + 3% chitosan + 1.0% natural mineral complek) and 4) M1.5 (basal diet + 3% chitosan + 1.5% natural mineral complex). In the egg production, the M1.5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reatments(P<0.05). However, egg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0.5 treatment than CON and M1.0 treatments(P<0.05). Egg shell breaking strength was higher in M1.5 treatment than M0.5 treatment. Egg shell thickness was the highest in M1.5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P<0.05). The hens 134 M0.5 diet were improved egg yolk color compared to those fed other diets(P<0.05). The Haugh unit, CON and M1.0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compared to those of M1.5 treatment(P<0.05). The M1.5 treatment had higher Ca and Fe concentration in blood and higher K concentration in yolk than CON(P<0.05).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natural mineral complex in laying hen diets influenced on egg production, egg shell qualify and mineral concentration in blood and yolk.

키워드

참고문헌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Food composition; dditives; natural contaminants vol II
  2. Asaoka K 1996 Chito-Chitosan-The Choice Food Supplement For Over 10,000 Physicians In Japan. Vantage Press, Inc
  3.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4. Frey KS, Potter GD, Odom TW, Senor DM, Regan VD, Weir VH, Esland J, Webb SP, Morris EL, Smit WB, Weigand KE 1992 Plasma slicon and radio graphic bone density in weanling quarter horses fed sodium zeolite. A Equine Vet Sci 12:292-295 https://doi.org/10.1016/S0737-0806(06)81335-3
  5. Ikeyama H, Morton RJ eds 1995 Chitin-healing power from Sea. Los Angeles CA Will production
  6. Miles RD, Layrent SM, Harms RH 1986 Influence of sodium zeolite A on laying hen performance. Poultry Sci 65:185
  7. NRC 1994 Nutrient requirements of poultr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8. Roland DA, Sr Laurnet SM, Orloft HD 1985 Shell quality as influenced by zeolite with high ion-exchange capability. Poultry Sci 64:1177-1187 https://doi.org/10.3382/ps.0641177
  9. SAS 1996 SAS user's guide Release 6.12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10. 고재우 우간바야르 오동환 배인휴 조성균 공일근 양철주 2005 장석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2:219-224
  11. 노선호 2001 양계영양학. 신광출판사 p 421
  12. 민병준 권오석 조진호 진영걸 김해진 유종상 김진동 김인호 서정근 2006 사료내 액상 천연미네랄의 첨가가 육계의성장 및 혈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18(1):29-33
  13. 산업기술정보원 1999 키토산의 연구동향과 전망. 승림문화 40-93
  14. 성형철 석윤오 한상문 유국현 성용길 2002 산란율과 난황콜레스테롤 수준에 미치는 키토산 혼합 급여의 효과. 한국키토산학회지 7:29-32
  15. 윤병선 강보석 김상호 최철환 나재천 서옥석 2000 비타민과 미네랄 첨가가 육용종 암탉의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7(3):181-187
  16. 이원백 김인호 홍종욱 권오석 이상환 민병준 정연권 2003 산란계 사료에 게르마늄 흑운모의 첨가가 난각특성 및 분내 유해가스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2 (1):61-66
  17. 정병윤 백인기 이동명 서상봉 2004 키토산제제 첨가가 육용종계, 육계, 돼지 및 젖소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키틴키토산학회 9(4):168-174
  18. 한인규 1996 동물영양학. 신광종합출판 p 221
  19. 홍종욱 김인호 문태현 권오석 이상환 2001 산란계에 있어 Fermkito 50의 첨가가 혈청 및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8(1):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