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opening and Audience

시장 개방과 수용자

  • Lee, Nam-Pyo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 Published : 2006.08.14

Abstract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validity of argument that market-opening will improve the audience welfare of media and cultural contents. To accomplish its purpose, first of all, this study classifies the spectrum of approaches on cultural market-opening in Korea. Then, it examines, by the concept of public goods, whether market-opening can bring on economic gains for audience as consumer. Finally, this study inspects the profit and loss for audience as citizen which will be brought on by market-opening on the grounds of democratic valu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mprovement of economic efficiency and competence, the expansion of consumer‘s choices,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value that the positive approach on market-opening is promising cannot be justified theoretically and logically. Therefore, at least in theoretically, the conclusion that market-opening cannot improve the audience welfare is deduced. However, the objection of market-opening cannot be related to the distorted protectionism of nation culture. On the contrary, this study suggests the condition of market-opening debate must be a opportunity to reconsider and reform of cultural diversity in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시장 개방이 미디어와 문화 콘텐츠의 수용자의 복지를 증진시킬 것이라는 주장의 타당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먼저 우리 사회의 문화 시장 개방에 관한 입장들의 스펙트럼을 수용자 복지를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시장 개방이 소비자로서의 수용자에게 실질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인가를 미디어 공공재 개념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장 개방이 시민으로서의 수용자에게 가져다 줄 민주적 가치 차원의 손익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적극적 시장 개방론이 주장하고 있는 문화산업의 경제적 효율성 증대 및 경쟁력 강화, 소비자의 선택권 확대, 문화적 가치의 보호 등은 그 이론적 정당성이 미흡하며 논리적인 모순이 적지 않다는 점이 드러났다. 따라서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시장 개방이 수용자 복지를 증진시킬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시장 개방 반대의 논리가 문화의 교류와 유통 자체를 금기시하는 왜곡된 민족문화의 보호주의로 이어져서는 곤란하며, 오히려 시장 개방이란 조건은 우리 내부의 문화적 다양성을 돌아보고 개혁하는 계기로 작동해야 한다는 점을 덧붙여서 제안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