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Studies on the Changes of Community of Naturalized Plants in Limja Island, Shinan Gun

신안군 임자도의 귀화식물 분포 변화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Kim, Ha-Song (Dept. of Herbal Medicine Resources Development, Naju College)
  • 김하송 (나주대학 한약자원개발과)
  • Published : 2006.10.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ora and the main vegeta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 of distribution in Limja Island, South Korea from 1999 to July, 2005. Flora of naturalized plants in surveyed site were the 1st survey 1999 year, 14 families 45 taxa, the 2nd survey 2005 year, total 14 families 54 taxa including 53 species 1 variety. which new 9 taxa included as Eragrostis curvula, Festuca myuros, Panicum dichotomiflorum, Atriplex hastata, Abutilon avicennae, Aster subulatus, Coreopsis lanceolata, Cosmos sulphureus, Cerastium glomeratum, etc. By the community table, the main vegetation communities in the surveyed sites were classified as Phytolacca americana, Rumux crispus, Bromus catharticus, Erigeron annuus - Erigeron canadensis, Oenothera odorata, Paspalum distichum, Festuca myuros, Cosmos sulphureus community. it is believed that the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have increased compared to other areas due to their close location to the living habitation.

본 조사는 해안 도서지방인 신안군 임자도를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주요군락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1999년에는 14과(科) 45종(種), 2005년에는 14과(科) 54종(種)이 조사되었다. 그 결과 본 조사에서 능수참새그령, 들묵새, 미국개기장, 창명아주, 유럽점나도나물, 어저귀, 비짜루국화, 큰금계국, 노랑코스모스 등 9종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군락은 군락조성표에 따라서 미국자리공군락, 개보리군락, 개망초-망초군락, 달맞이꽃군락, 물참새군락, 들묵새군락, 노랑코스모스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주요군락의 분포면적이 변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귀화식물군락의 주요 분포지역은 귀화식물의 서식지 특성상 인가와 도로주변의 인위적인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1995. 귀화식물에의한생태 계영향 조사(I). 국립환경연구원 조사보고서 pp. 215
  2. 고강석,강인구,서민환,김정현,김기대,길지현.1996.귀화식물에의한 생태계영향 조사(II). 국립환경연구원보 18: 25-35
  3.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이유미. 1997. '한국에서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생물상연구지 2: 139- 164
  4. 고강석, 나진균, 서민환, 길지현, 구인봉, 윤조희, 오현경, 박수현. 2000. 귀화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I). 국립환경연구원 pp. 96
  5. 김준민, 김철수, 박봉규. 1987. 식생조사법(식물사회학적연구법). 일신사 pp. 170
  6. 김하송. 1999. 신안군 임자도의 귀화식물상과 군락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도서연구 10: 21-28
  7. 박수현. 1994.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 85: 39-49
  8.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도감. 일조각. 서울. pp. 371
  9. 박수현. 1996. 외래식물의 국내현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귀화식 물의 분포도와 자생경로- 그린스카우트. pp. 5-14
  10.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pp. 178
  11. 유환수, 류상옥, 김민지. 1999. 임자도의 지형과 지질. 한국도서연구. 10: 9-19
  12. 이경재. 1996. 외래식물의 국내현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외래식 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그린스카우트. pp.10-25
  13. 李昌福. 1989. 大韓植物圖鑑. 鄕文社. 서울. pp. 990
  14. 任良宰, 全義植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韓國植物學會誌. 23: 69-83
  15. 鄭台鉉. 1965. 韓國植物圖鑑(木.草本類). 三和出版社, 서울. pp. 1824
  16. 牧野富太郞. 1979. 新日本植物圖鑑. 北陸館, 東京. pp. 1137
  17. 寺崎留吉. 1977. 寺崎日本植物圖譜. 平凡社. 日本, 東京. pp. 1181
  18. 長田武正. 1976. 原色日本歸化植物圖鑑. 保育社, 大阪. pp. 425
  19.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pp. 865
  20.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Stuttgart. pp. 136
  21. Groves, R.H. and J.J. Burden 1986. Ecology of biological invasions, Cambridge Univ. Press. pp. 137-149
  22. Kim, H.S., B.S. Ihm and J.S. Lee. 2003. Changes of the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Embankment in Anmado. Korean J. Ecol. 26(3): 103-108 https://doi.org/10.5141/JEFB.2003.26.3.103
  23. Mooney, H.A. 1996. The SCOPE initiatives: The background and plans for a global strategy on invasive species. pp. 30-37
  24. Newsome, A.E. and I.R. Noble 1986. Ecological of Biological Invasions(Ed., R.H. Groves and J.J. Burdon, Cambridge Univ. Press). pp. 1-33
  25. Ohwi Jisaburo. 1984. Flora of Japan. pp. 1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