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 요추, 견관절의 운동 범위 평가에 있어서 경사계와 각도기의 비교

Comparison of Inclinometer with Universal Goniometer in Evaluating Cervical and Lumbar Spine and Shoulder Range of Motion

  • 변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대학원 침구학교실) ;
  • 김선웅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대학원 침구학교실) ;
  • 김갑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대학원 침구학교실) ;
  • 김우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대학원 침구학교실) ;
  • 백승태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대학원 침구학교실) ;
  • 최선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대학원 침구학교실) ;
  • 이승덕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대학원 침구학교실)
  • Byun, Hyuk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Sun-Woong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Kap-Sung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Woo-Young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Baek, Seung-Tae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Choi, Sun-Mi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Seung-Deok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발행 : 2006.02.20

초록

목적 : 경사계와 각도기로 경추, 요추 및 견관절의 운동 범위를 반복 측정하여 두 도구의 측정자내 신뢰도 우위를 추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각 관절에 별다른 증상이 없는 10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추, 요추 및 견관절의 능동 운동 범위를 경사계와 각도기로 각 도구 당 2회씩 측정하였다. 측정하기 바로 전에, 한 명의 교육자가 경사계와 각도기를 이용한 경추, 요추 및 견관절의 운동 범위 측정 방법을 교육하였다. 104명은 두 명 씩 쌍을 이룬 후 각도기, 경사계, 각도기, 경사계를 이용하는 순서로 서로의 경추, 요추 및 견관절의 운동 범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 견관절의 수평 외전과 외회전에서 경사계의 측정값이 각도기의 측정값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안정적으로 반복되었다(P<0.05, 독립 이 표본 t-검정). 결론 : 견관절의 운동 범위 측정에 있어서 경사계가 각도기보다 높은 측정자내 신뢰도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어, 경사계와 각도기의 신뢰도를 급간내 상관 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비교해보는 연구의 예비 조사로서 실시된 이번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시행될 연구에 있어서 견관절의 운동 범위 측정에 보다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