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학적 관점에서 본 적정인구의 추계

A Projection of Optimum Population Growth in Korea: Demographic Perspective

  • 발행 : 2006.04.25

초록

본 연구는 총부양비를 최소화하는 적정인구성장률을 인구학적 부양비와 경제적 부양비로 나누어 계산하구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합계출산율과 적정인구성장률의 관계를 명시하며, 그것이 궁극적으로 적정인구 규모에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탐색한다. 인구학적 부양비를 최소화하는 인구성장률은 $-0.03%{\sim}0.15%$의 범위에 있으며, 그것은 합계 출산율로는 $2.1{\sim}2.2$명에 해당한다. 경제적 부양비를 최소화하는 인구성장률은 유년층과 노년층의 상대적 개인 소비비중에 따라 인구성장률과 그것이 함의하는 합계출산율은 달라진다. 예컨대, $u_1:u_3=2:1$일 때 적정인구성장률은 $-1.17{\sim}-0.93%$, 그것이 함의하는 합계출산율은 $1.5{\sim}1.6$명이다. 한편 유년층 대비 노년층의 상대적 소비비중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적정인구성장율이 높아져야 한다. 예컨대 $u_1:u_2=1:1.2$일 때 적정인구성장률은 $0.42{\sim}0.45%$이고, 그것이 함의하는 합계출산율은 $2.3{\sim}2.4$명이다. 본 연구에서 적정인구추계를 위한 기초 여론조사에 따라 진행된 상대적 소비비중을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유년층과 노년층의 상대적 개인 소비비중은 $u_1:u_2=1.25:1$이며, 이에 따른 현재의 상황에서 한국의 적정출산율은 $1.9{\sim}2.0$명 수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적정인구성장률은 대략 약간의 네거티브 성장을 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성열 (1996), 인구경제론 서울: 전영사
  2. 권태환 (1983), '현대인구학의 성격과 방법의 문제.' 서울대 사회학연구회(편), 전통과 변화 서울: 법문사
  3. 김승권 등 (2002), 저출산 시대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장단기 정책방안 한국보건회연구원
  4. 김승권 등 (2003), 저출산 대비 인구정책 개발 및 범 정부추진체계 수립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문현상 . 장영식 . 김유경 (1995), '출산율 예측과 인구구조 안정을 위한 적정출산수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6. 이번송 . 안흥식 (1990), '한국의 적정인구성장률에 관한 연구-인구부양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조남훈 등 (1995), '인구규모 및 구조변동에 따른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8. 小島宏 (2003), 先進諸國の小子化の動向と小子化政策に關する比較研究, 日本 厚生勞動省 社會保障 . 人口問題研究所
  9. 加藤久和 (2004), 人口經濟學 入門. 東京 日本評論社
  10. Bloom, David E. and Jeffrey Williamson (1998), 'Demographic Transitions and Economic Miracles in Emerging Asia,' World Bank Economic Review 12(3):419-55 https://doi.org/10.1093/wber/12.3.419
  11. Bloom, D., D. Canning, and J. Sevilla. (2003), 'The Demographic Dividend: A New Perspective on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Population Change.' Population Matters Series. Santa Monica, California: Rand
  12. Dasgupta, P. et al. (1994), 'The Environmental Resource Base and Human Welfare' Pp. 25-50 in Popula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The Making of Our Common Future. Edited by K. Lindahl-Kiessling and H. Landber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 Dasgupta, P. et al.(2001), 'Population, Resources, and Welfare: An Exploration into Reproductive and Environmental Externalities.' in Handbook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edited by Karl-Goran Maler and Jeff Vincent.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4. Dasgupta, P. et al. (2004), 'Regarding Optimum Population'. A paper prepared for a Symposium on Population and Political Theory, Fishkin, James and Robert Goodin (eds), Journal of Political Philosophy and Philosophy, Politics, and Society (Oxford: Basil Blackwell)
  15. Kelley, A. and Schmidt, R (2001), 'Economic and Demographic Change: A Synthesis of Models, Findings, and Perspectives.' In Population Does Matter: Demography, Growth, and Poverty in the Developing World, Edite by N. Birdsall, A. Kelley, S. Sind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6. Leibenstein, Harvey (1957), Economic Backwardness and Economic Growth: Studies in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New York: John Wiley
  17. Schmitt-Rink, Gerhard (1983), 'Is There an Optimal Growth Rate for Population?', K. E. Zimmerman (ed.), Optimum Population. Berlin, Germany: Springer-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