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Do Female Jobs Do for Women's Job Continuity? :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and Women's Job Exits in the U.S.

  • 민현주 (고려대학교 BK21 경제교육연구단)
  • Published : 2006.04.25

Abstract

Predominant explanations of the persistence of sex segregation ill occupations link job choices to profoundly gendered responses to childbearing and other family demands, arguing that women are more likely to seek jobs which are in some sense compatible with motherhood, either because they are family friendly (flexible, low intensity work) or because they are easy to exit and re-enter. In this paper, I examine the effect of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on job exits into the labor market among women, with a special attention to the role of childbearing and child rearing. I use data from detailed employment histories gathered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NLSY) in continuous time event history models. My results indicate that women in female dominated jobs are less likely to exit their jobs than women in other types of occupations. Further this relationship is not shaped by motherhood. While mothers or pregnant women are more likely to leave work, mothers in female-dominated occupations are slightly less likely to leave employment than mothers in other occupations. These result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ideas that women's choice of female-dominated occupations expresses a gendered identity and women strategically seek jobs which accommodate maternal roles. Taken together, my findings do not provide support to the idea that women choose female-dominated occupations because they are easier to integrate with motherhood (except for the pregnancy period).

노동시장에서 성별직업분리의 연속성을 설명하는 주요한 논의들은 여성들의 직업선택에 성역할분화가 뿌리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즉, 여성들은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보다 수월하게 병행할 수 있는 직업--그것이 모성역할에 보다 호의적이건, 또는 노동시장의 진입과 이탈에 보다 우호적이건--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여성들의 자녀양육의 책임에 따른 직업선택이 결과적으로 성별직업분리를 영속화시키는 주요한 원인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경험적 논의를 바탕으로, 여성들의 임신과 자녀양육의 영향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는 성별 직업분리가 여성들의 직업연속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미국의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NLSY) 1979-1998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연속적 사건사 분석 방법(continuous time event history models)을 적용하여 여성들이 직업을 이탈하는 다양한 유형과 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여성직종에 근무하는 여성들은 비 여성직종에 근무하는 여성들보다 직업을 이탈할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러한 직업분리도와 여성직업 연속성의 관계는 여성의 자녀양육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둔, 또는 임신한 여성들이 직장을 떠날 가능성은 더 많지만, 여성직종에 근무하는 여성들은 비 여성직종에 근무하는 여성들보다 노동시장을 완전히 이탈할 가능성은 오히려 낮은 것으로 본 연구결과는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이론적 논쟁점 여성들의 여성직종 선택은 여성성의 표현이고 그들의 모성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략적으로 여성직종을 선택한다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성별 직종분리가 임신과 육아책임을 수행하기 위한 여성의 경제적 합리성에 근거한 자발적 선택이라는 이론적 논의는 다시 고찰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것으로 판정되었다.때문에 오히려 낮은 파괴강도를 보였다. 경도는 입계에 존재하는 coalesced Mo 입자들과 matrix의 입성장 때문에 더욱 감소하였으나 반면에 파괴인성은 더욱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다.과 향을 적당하게 평가함으로써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23시간의 가열 농축은 31시간에 비해 경제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떫은감을 가열 농축하여 제조한 23시간 농축액은 자연적인 강한 단맛을 제공할 수 있고 동시에 항산화성과 탄닌성분을 많이 함유함으로써 식품조리와 식품가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졌으며 이는 Silymarin(93%) 보다도 우수하였다. 2종의 박하 추출물 투여군들 사이에는 혈청 GPT 활성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7.과산화물질 (TBARS)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음성대조군에서 약간의 함량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유의적인 수준은 아니었으며 대부분의 박하 추출물 투여군과 Silymarin 투여군에서 과산화지질이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여 박하는 알콜에 의한 과간화지질생성에 대한 저해효과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8. 상대간장중량은 각 실험군별로 상대간장중량에서의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mg/ml로 한 EtOAc 분획물은 26의 돌연변이 유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뽕나무를 이용한 식용 제품생산을 고려할 때 추출물들의 제조와 선택을 가름하는 자료로서의 활용이 기대되며 앞으로 in vivo test 등 더욱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0^{-4}\;pg/cell$로 60 kHz로 병행 추출한 복분자 water 분획층의 $19.5{\times}10^{-4}\;pg/cell$보다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당귀와 마황에서도 40 kHz의 초음파로 병행 추출한 것이 더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NK-cell의 활성도를 공정 요인별로 측정한 결과

Keywords

References

  1. Allison, Paul. D.(1995), Event History Analysis. Beverly Hills, CA: Sage
  2. Becker, G.ary S.(199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 Blau, Francine D. (1984), Occupational Segregation and Labor Market Discrimination. Sex Segregation in the Workplace. B. F. Reski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 Blossfeld, Hans-Peter, and Gotz Rohwer. (1995), Techiniques of Event History Modeli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 Desai, Sonalde and Linda J. Waite. (1991), 'Women's Employment During Pregnancy and After the First Birth: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Commit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6: 551-566 https://doi.org/10.2307/2096274
  6. England, Paula. (1982), 'The Failure of Human Capital Theory to Explain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17: 358-70 https://doi.org/10.2307/145585
  7. Felmlee, Diane H. (1984), 'A Dynamic Analysis of Women's Employment Exits.' Demography 21: 171-183 https://doi.org/10.2307/2061037
  8. Felmlee, Diane H. (1995), 'Causes and consequences of women's employment discontinuity.' Work and Occupations 22: 167-87 https://doi.org/10.1177/0730888495022002003
  9. Glass, Jennifer L. (1988), 'Job Quits and Job Changes: The Effects of Young Women's Work Conditions and Family Factors.' Gender and Society 2:228-240 https://doi.org/10.1177/089124388002002007
  10. Glass, Jennifer L. (1990), 'The Impact of Occupational Segregation on Working Conditions.' Social Forces 68:779-796 https://doi.org/10.2307/2579353
  11. Glass, Jennifer L., and Lisa Riley. (1998), 'Family Responsive Policies and Employee Retention Following Childbirth.' Social Forces 76:401-35
  12. Hachen, David S. Jr. (1988), 'The Competing Risks Model: A Method for Analyzing Processes with Multiple Types of Event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17:21-54 https://doi.org/10.1177/0049124188017001002
  13. Long, Scott J. (1997), Regression Models for Categorical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14. Min, Hyunjoo. (2004), 'Men, Women, and Job Continuity in the U.S. and South Korea: Occupational Sex-Typing and Family Life Course Effects on Voluntary and Involuntary Job Exits.' Ph.D. Dissertation.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15. Mincer, Jacob, and Samuel Polachek. (1974), 'Family Investment in Human Capital: Earnings of Women.'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76-108 https://doi.org/10.1086/260293
  16. Petersen, Trond. (1995), 'Analysis of Event Histories.' in Handbook of Statistical Modeling for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edited by Gerhard Arminger, Clifford C. Clogg, and Michael E. Sobel. New York: Plenum Press
  17. Polachek, Samuel. (1976), 'Occupational Segregation: An Alternative Hypothesis.' Journal of Contemporary Business 5: 1-12
  18. Polachek, Samuel. (1981), 'Occupational Self-Selection: A Human Capital Approach to Sex Differences in Occupational Structure.'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3: 60-69 https://doi.org/10.2307/1924218
  19. Reskin, Barbara. (1993), 'Sex Segregation ill the Workplace.' Annual Review of Sociology 19: 241-270 https://doi.org/10.1146/annurev.so.19.080193.001325
  20. Rosenfeld, Rachel A., and Kennith I. Spenner. (1992),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and Women's Early Career Job Shifts.' Work and Occupations 19: 424-449 https://doi.org/10.1177/0730888492019004005
  21. Royalty, Anne B. (1998), 'Job-to-Job and Job-to-Nonemployrnent Turnover by Gender and Education Level.' Journal of Labor Economics 16:392-443 https://doi.org/10.1086/209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