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union of Tibial Eminence Fracture in Child - 2 cases Report -

소아 경골 극 골절의 불유합 - 2예 보고 -

  • Hur, Yoon-M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Whan-Y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ang-Bum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ung-H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Rhu, Seung-Reo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허윤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정환용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상범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성훈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류승렬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e general consensus is that tibial eminence fractures have an excellent prognosis. But symptomatic nonunions requiring reduction and grafting have been reported. This report presents two cases of nonunion after tibial eminence fracture in eight years old boys which were treated with arthroscopy-guided reattachment and internal fixation and obtained good outcome.

소아에 있어서 경골 극 골절은 좋은 예후를 보인다. 하지만 드물게 증상이 있는 불유합이 발생하며, 골절의 정복과 골이식으로 치료한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8세 소아의 경골 극 골절 Mckeever 제 2형을 장하지 석고 고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나, 불유합된 2 례를 관절경하 정복술 및 내고정술로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